18대 의원들 평균 31억7300만원 … 17대의 3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8대 국회에 입성한 초선의원들의 재산이 17대 국회에 비해 훨씬 많았다.
28일 국회 사무처가 공개한 신규 등록 의원 재산공개 목록에 따르면 신규 재산등록 의원 161명의 평균 재산은 31억7300만원으로 17대(11억600만원)에 비해 2.9배였다.
신규 재산등록 의원에는 18대 국회에서 의정활동을 시작한 초선의원 143명과 17대에 낙선했다 18대에 국회에 돌아온 18명이 포함됐다.
정당별 1인당 평균 재산액은 한나라당이 34억7989만원,민주당은 29억4867만원을 기록해 지난 국회에서 열린우리당(9억5800만원)과 한나라당(15억9400만원)의 평균 재산액보다 크게 늘었다. 창조한국당은 58억6037만원,자유선진당 26억6687만원,친박연대 13억6518만원,민주노동당 2억1934만원이었다. 무소속 의원의 평균 재산액은 27억7898만원이었다.
재산 총액 5108억6000만원의 62.1%인 3174억8400만원을 부동산이 차지하는 상황에서 지난 4년간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데다 공천과정에서부터 17대 총선에 비해 개혁공천 바람이 적었던 탓에 당을 불문하고 자산가들의 국회 진출 기회가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100억원 이상의 재산가는 17대 국회의 1명(김혁규 열린우리당 의원ㆍ100억5500만원)이었던 반면 이번에는 조진형 김세연 의원 등 6명이나 됐다.
이중 정국교 민주당 의원과 무소속의 김일윤 의원은 돈문제로 구속수사를 받고 있다. 50억원대 이상 재력가도 18명으로 17대 때 5명보다 크게 늘었다.
민주당 김세웅 의원은 빚이 2억1500여만원으로 최저 재산을 기록했으나 김 의원을 제외하곤 모두 1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대 국회에서는 보유재산보다 빚이 많은 '마이너스' 자산가가 10명이었으며 1억원 미만의 재산을 가진 의원도 26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가난한 의원은 확 줄었다.
다만 이명박 대통령 경선캠프 및 대통령직 인수위 출신의 '친이(親李) 직계' 초선 의원의 평균 재산액은 18억8089만원으로 평균보다 낮아 '강부자(강남 땅부자)'로 비판받는 청와대나 내각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28일 국회 사무처가 공개한 신규 등록 의원 재산공개 목록에 따르면 신규 재산등록 의원 161명의 평균 재산은 31억7300만원으로 17대(11억600만원)에 비해 2.9배였다.
신규 재산등록 의원에는 18대 국회에서 의정활동을 시작한 초선의원 143명과 17대에 낙선했다 18대에 국회에 돌아온 18명이 포함됐다.
정당별 1인당 평균 재산액은 한나라당이 34억7989만원,민주당은 29억4867만원을 기록해 지난 국회에서 열린우리당(9억5800만원)과 한나라당(15억9400만원)의 평균 재산액보다 크게 늘었다. 창조한국당은 58억6037만원,자유선진당 26억6687만원,친박연대 13억6518만원,민주노동당 2억1934만원이었다. 무소속 의원의 평균 재산액은 27억7898만원이었다.
재산 총액 5108억6000만원의 62.1%인 3174억8400만원을 부동산이 차지하는 상황에서 지난 4년간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른 데다 공천과정에서부터 17대 총선에 비해 개혁공천 바람이 적었던 탓에 당을 불문하고 자산가들의 국회 진출 기회가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100억원 이상의 재산가는 17대 국회의 1명(김혁규 열린우리당 의원ㆍ100억5500만원)이었던 반면 이번에는 조진형 김세연 의원 등 6명이나 됐다.
이중 정국교 민주당 의원과 무소속의 김일윤 의원은 돈문제로 구속수사를 받고 있다. 50억원대 이상 재력가도 18명으로 17대 때 5명보다 크게 늘었다.
민주당 김세웅 의원은 빚이 2억1500여만원으로 최저 재산을 기록했으나 김 의원을 제외하곤 모두 1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대 국회에서는 보유재산보다 빚이 많은 '마이너스' 자산가가 10명이었으며 1억원 미만의 재산을 가진 의원도 26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가난한 의원은 확 줄었다.
다만 이명박 대통령 경선캠프 및 대통령직 인수위 출신의 '친이(親李) 직계' 초선 의원의 평균 재산액은 18억8089만원으로 평균보다 낮아 '강부자(강남 땅부자)'로 비판받는 청와대나 내각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