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0억 로열티 에이즈치료 후보물질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500억원대의 기술료 수입이 예상되는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이 국책연구원에 의해 개발됐다.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화학연구원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미국 다국적 제약사인 길리아드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발표했다. 길리아드는 에이즈 치료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로 지난해 에이즈 치료제 부문에서 올린 매출은 3조1000억원에 이른다.
이번 계약으로 화학연구원은 길리아드로부터 1차 기술료 10억원을 포함한 정액 기술료 85억원과 함께 2028년까지 경상기술료를 받는다. 연구원에 따르면 길리아드는 하반기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을 신청할 계획으로 5년 뒤부터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13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300억원 규모(15년간 4500억원)의 경상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연구원이 기술을 이전하기로 한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은 인체의 면역 기능을 파괴하며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1) 증식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비핵산 계열 역전사효소 저해제'다. 임상시험 결과 하루에 한 차례 소량의 경구 투여로도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를 주도한 손종찬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은 기존 치료제의 신경계통 부작용과 유전적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하루 한 차례 투여하는 편리성과 약효로 기존 치료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
지식경제부 산하 한국화학연구원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을 개발,미국 다국적 제약사인 길리아드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발표했다. 길리아드는 에이즈 치료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로 지난해 에이즈 치료제 부문에서 올린 매출은 3조1000억원에 이른다.
이번 계약으로 화학연구원은 길리아드로부터 1차 기술료 10억원을 포함한 정액 기술료 85억원과 함께 2028년까지 경상기술료를 받는다. 연구원에 따르면 길리아드는 하반기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을 신청할 계획으로 5년 뒤부터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13년부터 2028년까지 매년 300억원 규모(15년간 4500억원)의 경상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연구원이 기술을 이전하기로 한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은 인체의 면역 기능을 파괴하며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HIV-1) 증식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비핵산 계열 역전사효소 저해제'다. 임상시험 결과 하루에 한 차례 소량의 경구 투여로도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를 주도한 손종찬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에이즈 치료제 후보물질은 기존 치료제의 신경계통 부작용과 유전적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하루 한 차례 투여하는 편리성과 약효로 기존 치료제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