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마친 李대통령 독도 해법은
이명박 대통령의 휴가 후 정국운영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박5일의 휴가를 마친 이 대통령이 30일 무거운 발걸음으로 귀경했다. 당장 풀어야 할 난제들이 기다리고 있어서다. 특히 이 현안들을 어떻게 푸느냐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의 순항 여부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우선 외교안보라인 교체 여부가 당면 과제다. 미국 정부의 전격적인 독도 귀속국 표기 변경 문제뿐 아니라 △잘못된 미국산 쇠고기 협상 △금강산 피살 사건 늑장 대처△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의장 성명 파동 등 외교안보라인의 잇따른 실책에 대해 여야뿐 아니라 원로그룹까지 나서 대대적인 인적쇄신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시기와 폭'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이태식 주미(駐美)대사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문책하지 않을 수 없으나 그를 먼저 문책했다가는 자칫 최중경 전 기획재정부 차관 교체시 불거졌던 '대리경질 논란'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독도 귀속권 표기 변경에 대처하지 못한 것도 문제지만 금강산 피살사건을 국제 이슈화하려다 망신을 산 것은 명백한 정책상의 오류"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대통령이 최종 결심을 굳히지 못한 상태"라고 전했지만 여권에서는 한·미 정상회담(8월5∼6일) 이후 두 사람의 동시교체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김하중 통일부 장관을 포함한 외교안보라인의 전면적 교체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미 정상회담 때 독도 문제를 의제로 올릴 것인지도 관심사다. 국민정서를 감안하면 정상회담에서 그냥 넘어가기 힘들지만 거론한다고 해서 얻을 것도 별로 없는 터라 청와대 내부에서도 양론이 갈리고 있다.

의제 포함을 주장하는 쪽은 이 대통령이 독도 영유권에 대한 단호한 의지를 밝히지 않을 경우 정부의 늑장 대응으로 가뜩이나 부정적인 국민 감정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반대 측은 부시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독도 문제를 언급했을 경우 독도가 국제적 관심사로 부각돼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일본 측 의도에 말려드는 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청와대는 일단 의제검토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지만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한승수 국무총리의 독도 방문과 일본 관방상의 '부적절'발언으로 격화되고 있는 대일 외교전을 어느 수위로 조절할지도 고심거리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정치권과의 관계 재정립도 시급한 과제로 지적된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