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중국서 환경사업 본격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K에너지가 베이징시의 경유 매연 저감장치 장착사업에 참여,중국에서 환경사업을 본격화했다.
SK에너지는 베이징에서 운행 중인 청소차 등 공공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매연저감장치(DPF) 시범 장착사업을 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회사는 이 시범사업에서 약 400대의 매연저감장치를 보급하고 중국 기술 인력에 대한 지도 및 현장 연수도 진행키로 했다.
이 사업은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대기환경 개선을 고심해온 베이징 환경보호국이 시내버스와 청소차 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현재 공용 및 민영차량에 대해 매연저감장치 장착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SK에너지는 2006년 환경부와 중국 정부의 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중국 내 경유매연 저감장치 사업에 발을 들여 놓았다. 지난 1월에는 중국으로부터 저감장치 사업인증을 획득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의 경유매연 저감장치 시장은 향후 2∼3년 내에 5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돼 매연저감장치 사업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라며 "중국 사업을 계기로 경유매연 저감장치는 물론 다른 환경관련 사업의 해외 진출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SK에너지는 베이징에서 운행 중인 청소차 등 공공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매연저감장치(DPF) 시범 장착사업을 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회사는 이 시범사업에서 약 400대의 매연저감장치를 보급하고 중국 기술 인력에 대한 지도 및 현장 연수도 진행키로 했다.
이 사업은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대기환경 개선을 고심해온 베이징 환경보호국이 시내버스와 청소차 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현재 공용 및 민영차량에 대해 매연저감장치 장착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SK에너지는 2006년 환경부와 중국 정부의 공동기술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중국 내 경유매연 저감장치 사업에 발을 들여 놓았다. 지난 1월에는 중국으로부터 저감장치 사업인증을 획득했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의 경유매연 저감장치 시장은 향후 2∼3년 내에 5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돼 매연저감장치 사업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라며 "중국 사업을 계기로 경유매연 저감장치는 물론 다른 환경관련 사업의 해외 진출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