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올해 2.4분기 성장률이 경기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낮게 나온데다 작년 4분기에는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는 수정발표까지 겹치면서 경기침체 `진입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미 상무부는 31일(현지시간)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1.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1분기 성장률 0.9% 보다는 높아진 것이지만 마켓워치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 2.3%에는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미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세금 환급으로 6월말까지 780억달러가 납세자인 국민들에게 돌아가고, 수입 감소로 무역적자가 줄어든 것이 성장률 증가를 견인했지만 애초 기대수준을 밑돈 셈이다.

특히 상무부는 작년 4분기 성장률을 당초의 0.6%에서 마이너스 0.2%로 수정해 미국 경제가 이미 침체에 들어간 것이 아니냐는 논란을 재점화시키고 있다.

1분기 성장률도 1%에서 0.9%로 수정됐다.

헨리 폴슨 재무장관은 이날 최근의 경제성장률이 전반적으로 예상보다 양호하고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소비를 진작시키는 등 효과를 냈다고 밝혔지만,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경제 상황이 생각했던 것보다 나쁘고 작년 4분기에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으로 볼 때 경제가 이미 침체에 들어갔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디지선 이코노믹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앨런 시나이는 이미 경기침체에 들어섰고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마틴 펠드스타인 하버드대 교수는 GDP 수치가 경제가 약화되고 있음을 확인해주고 있지만 4분기 GDP 감소는 놀라운 것이라면서 이런 수치들은 경기 하강이 작년 12월이나 올해 1월에 시작됐다는 자신의 추정을 확신시켜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GDP에서 나타난 소비지출이나 주택시장 지표들은 경제 사정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분기 소비지출은 세금환급 덕분에 1.5% 늘어나 전분기의 0.9%보다 높아지기는 했지만 전문가들의 예상치에는 못미쳤고, 주택건설도 1분기의 25.1% 감소에서 15.6% 감소로 개선됐지만 여전히 침체 상태다.

무역적자 감소가 성장률 증가에 기여했지만 교역에 따른 성장을 제외하면 마이너스 성장세다.

연간 기준 3천952억달러로 최근 7년간 최저치인 무역적자는 GDP 증가율을 2.4%포인트 끌어올리는데 보탬이 됐다.

그러나 교역을 제외하면 경제 성장이 0.5% 하락세여서 최근 3분기 중 2분기째 역성장을 했다.

머크인베스트먼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조지프 브루수엘라스는 이로 인해 미국의 경기침체 여부를 진단하는 전미경제조사국(NBER)이 작년 4분기를 경기침체의 시발점으로 선언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NBER은 통상 경기침체가 시작된 이후 6~18개월 뒤에 침체를 선언한다.

여기에 고용시장의 악화까지 감안하면 경제 전망은 더욱 암울해지고 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신청 건수는 전주보다 4만4천명 증가한 44만8천명을 기록, 2003년 4월 이후 5년여만에 최대치를 보였다.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이 지난 6월까지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인데 이어 월가에서는 7월 고용도 7만명 가량 줄어들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그나마 2분기 경제성장에 기여한 한시적인 세금환급에 따른 효과가 사라짐에 따라 향후 경제가 더 약화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연합뉴스) 김현준 특파원 ju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