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한화그룹은 계약에 의해 예보에 콜옵션 이행을 촉구하는 한편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대한생명의 상장준비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최대의 경영불안 요인이 제거됨으로써 이제부터라도 경영혁신을 강도높게 추진할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스런 일이다.
물론 예보도 공적자금을 더 회수하기 위해 매각과정을 짚어보겠다는 것이었음을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그동안의 공방으로 소모된 비용은 물론 기업의 경영차질과 국제신인도 추락 등의 손실이 너무 크다는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국회 국정감사와 법원 판결 등을 통해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결론났던 사안을 놓고 새삼스럽게 국제중재를 신청했던 것이어서 이번 결과에 대해 예보는 상당한 책임을 느껴야 할 것임은 너무도 분명하다.
대생 매각을 둘러싼 이번 사건의 전말이 우리에게 시사(示唆)하는 바는 많다. 감독 당국은 특혜 시비를 우려한 책임 회피에 신경을 쓸 게 아니라 부실기업 매각과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데 힘을 쏟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이번 분쟁의 불씨가 된 이면계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적극 강구해나갈 필요가 있다. 예보 또한 이번 중재결정이 구속력을 갖는 만큼 한화 측의 콜 옵션 행사를 두고 불필요한 소모전을 되풀이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