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곡물 수출을 통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식량을 무기화하려는 처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일 보도했다.

신문은 서방의 외교 및 농업 관료들의 말을 인용해 러시아가 3년 안에 현재 식품시장 규제기관을 국영회사로 전환, 전체 곡물 수출량 가운데 40-50%를 통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영으로 전환된 회사는 북해에 있는 러시아 최대 규모의 노보로시스크 항구를 포함, 28곳의 주요 저장고와 수출터미널을 장악하게 된다.

이 같은 계획은 러시아 정부의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으며, 올해 안에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이들 관료는 전했다.

때문에 러시아가 가즈프롬을 설립해 천연가스 판매를 독점했던 것처럼 식량 수출도 외교적 '무기'로 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곡물값 폭등으로 러시아를 포함한 식량 수출국들이 터무니 없이 높은 수출관세를 매기거나 수출금지 조치를 내리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5위의 곡물 수출국인 러시아가 옛 소련식의 무역통제를 추진하는 것은 식량 수입국의 우려를 증폭시키기에 충분하다.

이 신문은 이러한 러시아의 구상은 식품값 폭등으로 인한 세계 농업시장의 재편 방향을 가늠하게 해주는 신호가 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미 농무부 보고서를 인용해 러시아의 국영회사가 곡물수출 시장에서 지배력을 행사할 경우 '활발한 민영 곡물 거래를 저해할' 것으로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newgla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