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4억원짜리 아파트 대출 끼고 사려면 근로자 연봉 7100만원 돼야 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서 4억원짜리 아파트 대출 끼고 사려면 근로자 연봉 7100만원 돼야 가능
일반 근로자가 빚을 얻어 서울에서 중간 가격대인 3억9000만원짜리 아파트를 사려면 소득이 현재의 1.5배는 돼야 대출 원리금을 갚아나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 기준으로는 연간 가구소득이 최소한 7000만원은 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3일 선진국에서 널리 활용하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개념을 국내에 적용,주택대출금리 연 6.7%를 기준으로 전국 도시 근로자들의 지역,주택규모,계층별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한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HAI는 해당 지역에서 중간 가격대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는 데 필요한 소득 수준을 현재 소득과 비교한 것으로 '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소득×100'으로 도출한다. HAI가 100을 넘어 수치가 높을수록 대출 상환이 어렵고,100을 밑돌수록 그렇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 3월 기준 서울의 HAI는 151.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현재 소득의 151%는 돼야 대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다는 의미로 서울의 가구소득이 평균 4700만원(노동부 자료)인 점을 감안하면 가구소득이 7100만원(4700만원×1.5)은 돼야 한다고 공사 측은 설명했다.
조사 결과 지수가 100을 넘는 곳은 서울과 경기(105.1) 두 군데였으며 대구(68.0),인천(66.8),부산(56.9),대전(52.0) 등 나머지 지역은 모두 100을 밑돌았다. 전국 평균은 75.5로 나타났다.
아파트 규모별 주택구입능력지수는 전국 평균이 60㎡(18평형) 이하인 소형 아파트가 43.3, 85㎡(25.7평형) 이하는 76.6으로 나타나 현 소득으로도 구입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35㎡(40평형) 이하인 중형 아파트는 148.7, 135㎡ 초과인 대형 아파트는 307.5로 각각 조사돼 대출을 이용해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연봉이 상위 20% 안에 들어야 대출을 통해 서울에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을 정도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이 힘겨운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
한국주택금융공사는 3일 선진국에서 널리 활용하는 '주택구입능력지수(HAI)'개념을 국내에 적용,주택대출금리 연 6.7%를 기준으로 전국 도시 근로자들의 지역,주택규모,계층별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한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HAI는 해당 지역에서 중간 가격대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는 데 필요한 소득 수준을 현재 소득과 비교한 것으로 '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소득×100'으로 도출한다. HAI가 100을 넘어 수치가 높을수록 대출 상환이 어렵고,100을 밑돌수록 그렇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 3월 기준 서울의 HAI는 151.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현재 소득의 151%는 돼야 대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다는 의미로 서울의 가구소득이 평균 4700만원(노동부 자료)인 점을 감안하면 가구소득이 7100만원(4700만원×1.5)은 돼야 한다고 공사 측은 설명했다.
조사 결과 지수가 100을 넘는 곳은 서울과 경기(105.1) 두 군데였으며 대구(68.0),인천(66.8),부산(56.9),대전(52.0) 등 나머지 지역은 모두 100을 밑돌았다. 전국 평균은 75.5로 나타났다.
아파트 규모별 주택구입능력지수는 전국 평균이 60㎡(18평형) 이하인 소형 아파트가 43.3, 85㎡(25.7평형) 이하는 76.6으로 나타나 현 소득으로도 구입에 별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35㎡(40평형) 이하인 중형 아파트는 148.7, 135㎡ 초과인 대형 아파트는 307.5로 각각 조사돼 대출을 이용해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연봉이 상위 20% 안에 들어야 대출을 통해 서울에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할 수 있을 정도로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이 힘겨운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