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과 러시아 정부가 과도한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정당한 이유 없이 물건 가격을 올리는 기업을 검찰 기소나 허가 취소 등을 통해 강력히 제재하기로 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5일 보도했다.

이는 석탄에서 대중교통에 이르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을 연말까지 동결하려는 베트남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베트남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신용평가회사인 피치의 아시아 국가 신용등급 담당자인 제임스 매코맥은 "이번 베트남 정부의 발표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시장 규제 수단 이상의 행정적인 통제를 가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인플레이션 상황은 한편으로는 경제를 연착륙시키기 위한 베트남 정부의 경제운용 능력의 시험대가 되고 있다. 베트남 경제기획투자부는 지난주 농토를 잠식하고 있는 골프장 건설 규제 방침을 밝히는 등 식품 가격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올 들어서는 동남아 국가 중 가장 먼저 금리인상을 단행,아시아개발은행(ADB)으로부터 찬사를 받기도 했다.

러시아 정부도 인플레이션 억제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5%에서 5.5%로 인상,오는 9월1일부터 적용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올 들어 세 번째 지준율 인상 조치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