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광복절 특별대사면에 대한 경제계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이미 대한상의를 비롯한 경제단체들과 각계각층으로부터 특별사면대상을 건의받아 실무적인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난 것은 아니지만 정부 일각에서는 국민통합을 추진하고 갈수록 어려워지는 국제경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특별사면.복권의 범위를 넓히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개진되고 있다고 한다. 경제계가 초미(焦眉)의 관심을 쏟는 것도 어찌 보면 그같은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사실 기업인들에 대한 특별사면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좀더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본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당면한 경제상황이다. 물가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을 위시한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은 한시도 마음놓을 수 없는 살얼음판과 다를 게 없다. 그러다 보니 일자리는 줄고,서민들의 고통도 갈수록 누적돼 가고 있다. 한마디로 경제살리기가 국가정책목표의 최우선 순위에 놓여져야 한다는 얘기다. 우리는 이미 8.15특별사면.복권에 기업인들을 대거 포함시켜 경제살리기의 선봉에 서도록 독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지만,정부가 폭넓은 특별사면에 대한 확고한 방침을 신속히 결정하도록 거듭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또 대다수의 기업인들이 법적 제재를 받은 분식회계 등은 개인적 비리라기보다는 잘못된 회계관행에서 비롯됐거나 정경(政經)유착과 같은 구시대의 유산이라는 측면도 없지 않다. 어찌보면 기업인들 입장에서는 억울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더구나 사법적 처벌로 인해 해당 기업인들이 겪는 어려움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국내외 계약 체결은 물론 해외여행에 따른 불편도 크다는 게 경제계의 설명이다. 물론 법을 위반한 것에 대해 처벌이 뒤따른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지만 그같은 사정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더욱 투명한 경영과 기업성과를 제고하는데 힘쓰도록 특별사면.복권을 광범하게 실시하는 것이 국가발전에 더 큰 기여를 하게 될 것 아닌가.

'글로벌 시장,글로벌 경쟁' 시대다. 기업과 기업인들이 해외로 뛰어야 한다. 특별사면과 복권이 침체 일변도로 추락하는 나라경제를 살리는 지름길이라면 더구나 주저할 이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