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복지부,농림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6일 청와대의 임명 강행은 여야 관계는 물론 국회 원구성 협상에도 미묘한 파장을 불러왔다. 민주당이 "야당에 대한 선전포고"(정세균 대표)라며 강하게 반발하자 한나라당은 '민주당을 제외한 원구성'을 이야기하고 나섰다.

한나라당은 특히 이날 공식 출범한 자유선진당과 창조한국당의 공동교섭단체(선진과 창조의 모임.선창모)와 원구성을 추진할 방침이어서 주목된다.

예컨대 민주당 몫의 상임위를 제외한 한나라당,자유선진당-창조한국당 등으로 국회 상임위를 구성,독자적으로 국회 정상화에 나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청와대의 임명 강행 방침을 전해들자 격앙된 반응 일색이었다. 정세균 대표는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니까 인사청문회를 피하려는 속셈"이라고 비판했으며 원혜영 원내대표도 "인사청문회 없이 임명된 장관을 인정할 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있는 조치가 없는 한 국회 의사일정에 협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임명된 장관에 대해서는 직무정지 가처분 신청을 비롯한 법적 대응을 진행하기로 했으며 예정되어 있는 감사원장 청문회는 보이콧하기로 했다.

그렇지 않아도 양당의 원구성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던 차에 민주당이 이처럼 강경 대응으로 맞서자 한나라당은 제3교섭단체인 선창모와 이번 주 중 구체적인 원구성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자유선진당과 창조한국당으로 구성된 새 교섭단체와 한나라당 몫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한 본회의를 다음 주 중에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나라당 일각에서 이러한 방안에 반대 목소리도 있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다.

노경목/김유미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