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자산운용협회와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하나UBS운용이 지난달 22일 내놓은 '피가로인덱스파생펀드'의 판매액은 9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2002년 '갤럽코리아인덱스주식'이란 이름으로 처음 설정된 이 펀드는 지난달 연간 총보수를 일반 인덱스형의 10분의 1에 불과한 0.15%로 파격적으로 낮추면서 이름을 바꿨다. 이날 현재 설정액은 30억원으로 '피가로인덱스'로 변경한 이후 잔액 증가는 9억원에 그치고 있다.
미래에셋맵스운용이 지난 5월 수수료를 0.38% 안팎으로 대폭 낮춘 '인덱스로펀드 시리즈'도 판매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클래스별로 총 29개 상품에 272억원이 유입됐다. 펀드당 평균잔액이 10억원이 채 안 되는 규모다. 현재 온라인용 인덱스펀드 설정액은 2527억원으로,전체 주식형펀드(144조2089억원)의 0.18%에 불과하다.
김대열 하나대투증권 펀드리서치 팀장은 "연평균 2.5% 안팎의 비용을 부담하는 일반 주식형펀드는 투자 기간이 길수록 인덱스펀드와 수수료 격차가 커진다"며 "장기투자자라면 비용 부담이 적은 온라인 인덱스상품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해영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