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인플레이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 물가불안의 부정적인 측면이 부각되는 데 비해 국내총생산(GDP)이 확대되는 긍정적인 효과는 크지 않다는 분석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 7일 기준금리를 올린 데 대해 "타이밍을 놓쳤다"는 등의 비난이 일자 이에 대한 반박 성격의 보고서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경제주체의 기대변화가 국내경제 및 통화정책에 미친 영향'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물가가 4분기 후 0.5%포인트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동결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1분기에 0.63%포인트,2분기 0.57%포인트,3분기에 0.51%포인트 올라간다.

반면 GDP 증가율은 1분기에 0.21%포인트,2분기에 0.23%포인트,3분기 0.14%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친다. GDP 증가폭은 0.25~0.33%포인트인 데 비해 물가상승폭은 0.36~0.58%에 달하는 것이다.

강희돈 한은 거시모형반 과장은 "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금리가 동결되면 물가는 더욱 올라가게 된다"면서 "반면에 경제주체들의 투자와 소비는 물가불안에 따른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기대만큼 활발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정책금리에 대한 기대가 임금 주가 등을 통해 주요 선반응을 초래하므로 통화정책 결정시 경제주체들의 기대변화를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시장의 기대변화를 자세히 지켜보고 필요할 때 신속한 신호를 통해 금융시장의 기대가 건전하게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한은 보고서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은이 금리를 뒤늦게 올린 변명에 불과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를 계속 동결한 것이 물가불안을 가중시켰다고 볼 수 있다"며 "지금은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경기침체가 우려되는데 오히려 금리를 올렸다"고 말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