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수시2학기] 하향지원 삼가고 '수능 최저기준' 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수시 2학기에 뽑는 인원이 전체 대학 정원의 54%에 달하는 만큼 상당수 수험생이 여기에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수시모집은 복수 지원이 가능해 경쟁률이 정시에 비해 훨씬 높다. 수험생들은 보통 적게는 2~3개 대학,많게는 6개 이상의 대학에 지원한다.
수시2학기 모집은 수능시험일(11월13일)을 걸치고 있으므로 수능을 우선할지,수시모집 응시를 우선할지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수능 성적이 비교적 좋은 편이라면 수시2학기 모집에는 1~3곳에만 지원하는 것이 낫다. 수능시험에 대비할 시간과 체력을 아끼기 위해서다.
수시모집은 수능시험일을 전후해 수시2-1과 수시2-2로 나뉜다. 논술ㆍ면접ㆍ포트폴리오 작성 등 대학별로 치러야 하는 수시모집 준비가 미흡한 학생이라면 수시2-1보다 2-2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시모집에서 하향 지원은 금물이다. 한 군데라도 합격하면 정시모집 지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단 수능시험의 압박을 피하고 싶은 마음에 하향 지원을 하는 수험생 중 대부분이 대학에 다니면서 다시 재수를 준비하는 '반수생'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꼭 가고 싶은 대학을 골라 소신껏 지원하는 것이 후회를 줄이는 길이다.
수능시험을 완전히 포기하고 수시에만 매달리는 것도 위험하다. 거의 모든 대학들이 모집단위와 전형별로 '수능 최저 학력기준'을 마련해 놓고 있다. 수시2학기에 합격했다가 수능 최저기준에 미달해 최종 불합격하는 경우가 대학별로 약 20%에 달한다고 입시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성균관대 수시2-1(학업우수자전형 등),서강대 수시2-1(일반전형 등),중앙대 수시2-1(학업우수자전형 등) 등이 예외적으로 수능 최저기준 없이 학생을 뽑는다.
주요 대학은 각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전형을 마련해 놓고 있다. 특히 올해 첫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와 기회균형선발제도 등 대학별 특성화 전형을 눈여겨봐야 한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수시2학기 모집은 수능시험일(11월13일)을 걸치고 있으므로 수능을 우선할지,수시모집 응시를 우선할지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수능 성적이 비교적 좋은 편이라면 수시2학기 모집에는 1~3곳에만 지원하는 것이 낫다. 수능시험에 대비할 시간과 체력을 아끼기 위해서다.
수시모집은 수능시험일을 전후해 수시2-1과 수시2-2로 나뉜다. 논술ㆍ면접ㆍ포트폴리오 작성 등 대학별로 치러야 하는 수시모집 준비가 미흡한 학생이라면 수시2-1보다 2-2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시모집에서 하향 지원은 금물이다. 한 군데라도 합격하면 정시모집 지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단 수능시험의 압박을 피하고 싶은 마음에 하향 지원을 하는 수험생 중 대부분이 대학에 다니면서 다시 재수를 준비하는 '반수생'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꼭 가고 싶은 대학을 골라 소신껏 지원하는 것이 후회를 줄이는 길이다.
수능시험을 완전히 포기하고 수시에만 매달리는 것도 위험하다. 거의 모든 대학들이 모집단위와 전형별로 '수능 최저 학력기준'을 마련해 놓고 있다. 수시2학기에 합격했다가 수능 최저기준에 미달해 최종 불합격하는 경우가 대학별로 약 20%에 달한다고 입시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성균관대 수시2-1(학업우수자전형 등),서강대 수시2-1(일반전형 등),중앙대 수시2-1(학업우수자전형 등) 등이 예외적으로 수능 최저기준 없이 학생을 뽑는다.
주요 대학은 각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전형을 마련해 놓고 있다. 특히 올해 첫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와 기회균형선발제도 등 대학별 특성화 전형을 눈여겨봐야 한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