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적극적인 해외 자원 개발을 통해 2030년까지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을 40%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원자력 발전소 11기를 추가로 신설,원자력 발전 비중을 2030년엔 41%로 늘리기로 했다.

정부는 1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국가에너지기본계획안 2차 공청회에서 이 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은 20년을 계획 기간으로 5년마다 수립되며 이달 말 열리는 3차 국가에너지위원회에서 최종안이 확정된다. 이날 발표된 안은 국가에너지위 산하 전문위원회의 의결을 거친 것이어서 원안대로 의결될 가능성이 높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2030년까지 국내 석유.가스 수입량의 40%를 자주개발로 충당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06년 기준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은 3.2% 수준이었다. 하지만 2004년 이후 대거 확보한 해외 탐사광구가 개발.생산 단계에 진입하는 2011년부터는 자주개발률이 급속히 증가하게 된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날 공청회에서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설비 비중을 41%로 늘리기로 사실상 확정했다.

지난해 기준 26%인 원전설비 비중을 41%로 늘리려면 신고리 3,4호기와 같은 140만㎾급 원전 11기를 새로 건설해야 한다.

정부는 원전 신규 부지 확보에서 준공까지 12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2022년 준공될 원전 부지를 2010년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후보지로 2∼3개 지역이 거론되고 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에너지 안보문제,고유가 시대,온실가스 감축 등에 대응하려면 경제적이면서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는 원자력 발전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