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으로 정보처리 '빛의 반도체' 기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AIST는 양승민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광자결정나노구조체'를 인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발표했다.
광자결정은 반도체가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듯 빛(광자)의 흐름을 제어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 '빛의 반도체'라고 불린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광자결정의 굴절률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미세입자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각종 광학소자와 광촉매 등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전자종이와 같이 접거나 말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도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광자결정은 반도체가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듯 빛(광자)의 흐름을 제어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 '빛의 반도체'라고 불린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광자결정의 굴절률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미세입자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각종 광학소자와 광촉매 등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전자종이와 같이 접거나 말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도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