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 자유무역지대에 국내 최대 규모의 태양광발전용 반도체 소재(잉곳,웨이퍼) 생산공장이 들어선다.

태양광발전 소재 전문업체인 네오세미테크(대표 오명환)는 18일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직무대행 정덕모)와 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 내에 태양광발전용 반도체인 잉곳 및 웨이퍼 생산시설을 건립하기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이에 따라 자유무역지역 내 5만2659㎡의 공장터에 1단계로 2009년까지 약 300㎿의 생산시설을 확보한 뒤 2010년까지 500㎿ 설비를 추가로 들여와 연산 총 800㎿ 규모의 잉곳ㆍ웨이퍼 생산공장을 완공할 계획이다. 공장 건립에는 22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잉곳은 태양광발전용 전지판의 기초소재인 실리콘 등을 압축해 만든 원통형 덩어리며, 웨이퍼는 이 덩어리를 얇게 잘라 만든 직영 4~6인치 크기의 원형판으로 태양광전지용 셀(Cell)의 원재료가 된다. 회사는 이곳에서 생산된 잉곳 및 웨이퍼를 독일,대만의 태양광 발전용 전지제조업체 등 국내외 관련 업체에 공급할 계획이다.

오명환 대표는 "태양광발전전지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폭증하고 있는 만큼 1단계 시설이 본격 가동되는 2010년 8500억원,2단계 시설이 운영되는 2011년에는 2조5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 평면 에칭장치 특허를 기반으로 2000년 설립된 네오세미테크는 2004년 단결정 실리콘 잉곳 제조시간을 기존 공법의 10분의 1 수준인 40시간으로 낮춘 '연속성장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등 다수의 태양광 잉곳 제조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