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을 敵 아닌 아군으로 만들어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처럼 세계 각국도 인터넷을 통해 정부 정책이나 정치 지도자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면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미국 프랑스 등 주요국은 네티즌의 대정부 공세를 막고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를 기용,전문팀을 만드는 등 공세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지난 2월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폭언 장면이 인터넷에 유출된 후 곤욕을 치른 프랑스는 대통령부 직할로 네티즌 대책팀을 가동하고 있다. 민간 홍보 전문가 출신인 프랑수아 드라 브로스씨를 팀장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팀'은 매일 아침 회의를 열어 인터넷 홍보 작전을 논의한다.
미국은 국무부 산하에 9명으로 구성된 '디지털 아웃리치' 부서를 운영 중이다. 워싱턴에 있는 국무부 별관에 위치한 이 부서에서는 매일 회의가 열린다. 책임자인 블래슈키 부장은 "인터넷에서는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에 즉각 대응하지 않으면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며 "반론 권한을 전적으로 일임받아 사전에 상층부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젊은 외교관들로 구성된 블로그인 'DIPNOTE'도 개설했다. 민간 TV방송국의 프로듀서를 스카우트해 운영을 맡기고 있다.
영국에서도 정책 책임자들이 적극적으로 네티즌과 대화하고 있다. 차기 총리로 거론되는 데이비드 밀리밴드 외무장관은 매주 1회 이상 인터넷을 통해 시민과의 대화 시간을 갖고 있다. 후진타오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도 네티즌과 주기적으로 의견을 나누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각국 정부가 네티즌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인터넷을 매개로 특정 의견이 극단적으로 증폭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합리적인 의견보다 극단적인 주장이 득세하는 경향이 강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예상 외의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 니시가키 도오루 도쿄대 교수는 "등록제를 통해 인터넷 상의 발언 책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인한 기자 janus@hankyung.com
지난 2월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폭언 장면이 인터넷에 유출된 후 곤욕을 치른 프랑스는 대통령부 직할로 네티즌 대책팀을 가동하고 있다. 민간 홍보 전문가 출신인 프랑수아 드라 브로스씨를 팀장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팀'은 매일 아침 회의를 열어 인터넷 홍보 작전을 논의한다.
미국은 국무부 산하에 9명으로 구성된 '디지털 아웃리치' 부서를 운영 중이다. 워싱턴에 있는 국무부 별관에 위치한 이 부서에서는 매일 회의가 열린다. 책임자인 블래슈키 부장은 "인터넷에서는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에 즉각 대응하지 않으면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며 "반론 권한을 전적으로 일임받아 사전에 상층부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젊은 외교관들로 구성된 블로그인 'DIPNOTE'도 개설했다. 민간 TV방송국의 프로듀서를 스카우트해 운영을 맡기고 있다.
영국에서도 정책 책임자들이 적극적으로 네티즌과 대화하고 있다. 차기 총리로 거론되는 데이비드 밀리밴드 외무장관은 매주 1회 이상 인터넷을 통해 시민과의 대화 시간을 갖고 있다. 후진타오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도 네티즌과 주기적으로 의견을 나누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각국 정부가 네티즌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인터넷을 매개로 특정 의견이 극단적으로 증폭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에서는 합리적인 의견보다 극단적인 주장이 득세하는 경향이 강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경우 예상 외의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 니시가키 도오루 도쿄대 교수는 "등록제를 통해 인터넷 상의 발언 책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인한 기자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