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연골 다 닳도록… 역도 김도희 코치, 수술 미루고 메달 뒷바라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여자 역도 대표팀의 김도희 코치(34·사진)가 무릎 수술까지 미뤄가며 베이징올림픽에서 대표팀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져 감동을 주고 있다. 그는 무릎 연골이 다 닳아 걷기조차 힘든 상황에서도 역도 대표팀을 뒷바라지하기 위해 통증을 참아가며 수술 시기를 올림픽 이후로 연기했다.
김 코치는 올림픽을 앞두고 당장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의료진의 권고에도 계속 시기를 미뤄왔고 결국 장미란(25·고양시청)과 윤진희(22·한국체대)가 금,은메달을 각각 따내는 등 한국 여자 역도가 역대 최고의 성적을 내는데 힘을 보탰다.
현역 시절 여자 최중량급(+75kg)에 출전했던 김 코치는 한국신기록까지 세우며 두각을 나타낸 기대주였지만 1998년 전국체전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훈련 도중 왼쪽 무릎 연골이 손상돼 더 이상 바벨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된 탓이다.
김 코치는 연골 이식 수술을 받은 뒤 지도자로 변신,지난해 1월 여자 대표팀 코치를 맡게 됐다. 그러던 중 지난 3월부터 다쳤던 무릎이 다시 김 코치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선수들의 훈련에 조금이라도 차질을 주지 않기 위해 겉으로는 내색을 하지 않고 고통을 참았다. 통증은 더 심해져 진통제까지 먹어야 했고 의무실에도 수시로 들러 남몰래 재활 치료를 받아왔다. 그러면서도 아침부터 야식까지 장미란을 비롯한 남녀 역도 대표팀 선수단의 먹을거리를 챙겼고 밥과 떡국 불고기 등 다양한 요리도 직접 해먹이기도 했다. 베이징에 와서도 체중과 음식 관리를 엄격히 해 매일 밤 늦게까지 식단과 간식을 일일이 체크했다.
오승우 감독은 "무릎 통증이 더 심해져 지금은 제대로 잠도 잘 수 없을 정도"라면서 "그동안 주위에서 걱정할까 봐 아픈 내색도 거의 하지 않고 대표팀을 도와 준 김 코치에게 고마울 뿐"이라고 말했다. 김도희 코치는 25일 서울 경희대병원에서 수술을 받을 예정이다.
베이징=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
김 코치는 올림픽을 앞두고 당장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의료진의 권고에도 계속 시기를 미뤄왔고 결국 장미란(25·고양시청)과 윤진희(22·한국체대)가 금,은메달을 각각 따내는 등 한국 여자 역도가 역대 최고의 성적을 내는데 힘을 보탰다.
현역 시절 여자 최중량급(+75kg)에 출전했던 김 코치는 한국신기록까지 세우며 두각을 나타낸 기대주였지만 1998년 전국체전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훈련 도중 왼쪽 무릎 연골이 손상돼 더 이상 바벨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된 탓이다.
김 코치는 연골 이식 수술을 받은 뒤 지도자로 변신,지난해 1월 여자 대표팀 코치를 맡게 됐다. 그러던 중 지난 3월부터 다쳤던 무릎이 다시 김 코치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선수들의 훈련에 조금이라도 차질을 주지 않기 위해 겉으로는 내색을 하지 않고 고통을 참았다. 통증은 더 심해져 진통제까지 먹어야 했고 의무실에도 수시로 들러 남몰래 재활 치료를 받아왔다. 그러면서도 아침부터 야식까지 장미란을 비롯한 남녀 역도 대표팀 선수단의 먹을거리를 챙겼고 밥과 떡국 불고기 등 다양한 요리도 직접 해먹이기도 했다. 베이징에 와서도 체중과 음식 관리를 엄격히 해 매일 밤 늦게까지 식단과 간식을 일일이 체크했다.
오승우 감독은 "무릎 통증이 더 심해져 지금은 제대로 잠도 잘 수 없을 정도"라면서 "그동안 주위에서 걱정할까 봐 아픈 내색도 거의 하지 않고 대표팀을 도와 준 김 코치에게 고마울 뿐"이라고 말했다. 김도희 코치는 25일 서울 경희대병원에서 수술을 받을 예정이다.
베이징=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