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 전에도 투자금 회수 중소기업 M&A 활성화돼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중소ㆍ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려면 투자자들의 조기 자금 회수가 가능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의 인수ㆍ합병(M&A)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성호 경기대 서비스경영대학원 교수는 1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연구원,벤처산업연구원 공동 주관으로 열린 '제2기 벤처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자금) 회수 시장이 투자금 회수 기간이 긴 코스닥시장의 기업공개(IPO)에 편중돼 있어 벤처캐피털 업체 등 투자자들이 중소ㆍ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꺼린다"며 "상장 이전에도 자금 회수가 가능하도록 중소기업의 M&A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와 관련,"M&A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주식교환형 기업 인수에 관한 과세특례를 도입하는 등 세제 지원을 강화해 M&A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미국의 벤처캐피털 업체들은 60~70%가 M&A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코스닥시장은 신규 상장이 쉽지 않은 만큼 현재 비상장 주권의 매매 거래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프리보드시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해 기업공개 방식을 다변화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최 교수와 함께 주제발표에 나선 송치승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2월부터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 벤처캐피털 업계의 경쟁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기업형 벤처캐피털 시장에 대기업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최성호 경기대 서비스경영대학원 교수는 19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연구원,벤처산업연구원 공동 주관으로 열린 '제2기 벤처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자금) 회수 시장이 투자금 회수 기간이 긴 코스닥시장의 기업공개(IPO)에 편중돼 있어 벤처캐피털 업체 등 투자자들이 중소ㆍ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꺼린다"며 "상장 이전에도 자금 회수가 가능하도록 중소기업의 M&A를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와 관련,"M&A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주식교환형 기업 인수에 관한 과세특례를 도입하는 등 세제 지원을 강화해 M&A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미국의 벤처캐피털 업체들은 60~70%가 M&A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코스닥시장은 신규 상장이 쉽지 않은 만큼 현재 비상장 주권의 매매 거래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프리보드시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해 기업공개 방식을 다변화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최 교수와 함께 주제발표에 나선 송치승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2월부터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됨에 따라 기존 벤처캐피털 업계의 경쟁력이 약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기업형 벤처캐피털 시장에 대기업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