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정책위의장 "北, MB취임식 참석하려 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남 상임위원장 등 북한의 고위층 인사가 지난 2월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할 가능성도 있었지만 북한이 다른 국가와는 다른 특별한 초청장을 요구해 무산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선인 시절 이 대통령은 외신 기자회견에서 "북한 고위층이 취임식의 경축사절로 온다면 언제나 환영한다"고 말했지만 결국 성사되지 않았었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당시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은 1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남북물류포럼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서 "당시 북한이 취임식 참석 의사를 밝혔지만 다른 외국에 보내는 것과 똑같은 취임식 초청장에는 응하지 않겠다고 전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러나 취임준비위에서 준비위원장 명의로 돌아가는 똑같은 초청장을 북한에 보냈고,북한은 불참했다"고 말했다.
임 의장은 "북한은 우리와 유엔에 동시 가입했기 때문에 외교적으로 실체를 인정받는 등 남북관계에서는 양면성이 있다"면서 "당시에도 (취임준비위 내부적으로) 특별한 초청장에 대한 논란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경색된 남북관계와 관련해 "북한을 두려움 없이 개방에 나서게 하면서 남한도 경제의 활로를 찾기 위해 파주 통일경제특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당시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은 1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남북물류포럼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서 "당시 북한이 취임식 참석 의사를 밝혔지만 다른 외국에 보내는 것과 똑같은 취임식 초청장에는 응하지 않겠다고 전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러나 취임준비위에서 준비위원장 명의로 돌아가는 똑같은 초청장을 북한에 보냈고,북한은 불참했다"고 말했다.
임 의장은 "북한은 우리와 유엔에 동시 가입했기 때문에 외교적으로 실체를 인정받는 등 남북관계에서는 양면성이 있다"면서 "당시에도 (취임준비위 내부적으로) 특별한 초청장에 대한 논란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경색된 남북관계와 관련해 "북한을 두려움 없이 개방에 나서게 하면서 남한도 경제의 활로를 찾기 위해 파주 통일경제특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