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당국이 19일 5년 연속 적자를 내는 코스닥 부실기업을 퇴출시키는 방안을 내놓았지만 한계기업들은 오히려 내심 안도하는 모습이다. 감독당국이 퇴출 기준을 과거보다는 크게 강화해 영업활동으로 이익을 내지 못하면 퇴출시키겠다고 나섰지만 과거 실적은 문제삼지 않고 내년부터 적용키로 해 퇴출 기로에 놓여있던 한계기업들로선 오히려 5년간의 시간을 번 셈이기 때문이다.

코스닥시장에선 매년 수십 곳의 중소형 기업들이 신규 상장하고 있지만 부실기업들이 급증해 신뢰의 위기를 맞고 있다.

감독당국에 따르면 최근 6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코스닥 77개사가 최근 2년 동안 코스닥 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은 2조원이 넘지만 시가총액은 2005년 말에 비해 2조원 넘게 줄었다. 일반투자자들이 시장과 감독당국을 믿고 투자했다가 막대한 자금을 날렸다는 얘기다.

감독당국은 코스닥 부실기업 정리를 강조하고 있지만 부실기업들은 퇴출 위기에서 속속 벗어나는 것이 현실이다. 부실기업들은 올 상반기 결산에서도 자본금을 늘리거나 줄이고, 그래도 안되자 대주주가 회사에 자산을 무상 증여하는 편법을 동원하면서까지 위기에서 벗어나는 수완을 과시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엔 지난해(11곳)보다 두 배 이상 많은 24곳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됐지만 해당업체들은 느긋한 모습이다. 이미 적자기업 10곳 이상이 퇴출 위기를 쉽게 벗어났기 때문이다. 현재 관리종목인 한 코스닥기업 관계자는 "우리 회사가 연말까지 퇴출 규정을 피해갈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며 여유있는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코스닥 지수는 3년여 만의 최저 수준인 507까지 주저앉았다. 지난해 800선을 넘어섰던 지수는 500선도 위태롭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코스닥시장 위기는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앞으로 계속될 것이란 우려가 높다.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비중의 약 90%를 차지하는 개미투자자들의 피해를 어떻게 막을 것인지 감독당국의 고심이 절실한 시점이다.

조진형 증권부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