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글로벌인재 싹쓸이 나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이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전 세계에서 최우수 인력을 유치하는 '글로벌 리쿠르트'에 나선다.
24일 중국 신징바오 등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외국 금융 전문가에게 집값 보조금부터 무료 건강검진까지 제공하는 패키지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상하이시는 금융 전문가에게 연간 20만위안(약 3000만원)의 전세 보조금을 지급하고,소득세도 20% 환불해주기로 했다. 이와 함께 매년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한편 거류증 취득 등의 절차를 대폭 간소화할 계획이다. 상하이의 신 중심지 푸둥지역 안에 외국인 금융회사 직원 집단주거지도 마련키로 했다. 한정 상하이시장은 "2010년 말까지 외국 은행 보험 증권사 직원에게 이 같은 우대조치를 해주기로 중앙정부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상하이시의 이 같은 조치는 런던이나 뉴욕 같은 국제 금융도시가 되기 위해선 외국 금융전문가 유치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광둥성 정부는 경공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한다는 방침 아래 연간 3000만위안(45억원)의 파격적인 포상금을 내걸고 우수 인력을 모집키로 했다. 광둥성 정부는 앞으로 매년 말 산업 과학 등의 분야에서 최우수 인력을 2명 선발,각각 3000만위안의 포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 국제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남긴 연구팀을 뽑아 최고 5000만위안(75억원)에서 1억위안(150억원)을 주기로 했다. 또 2등급 연구팀에는 각각 3000만위안(45억원)에서 5000만위안(75억원),3등급에는 1000만위안(15억원)에서 2000만위안(30억원)을 연구비로 제공한다. 원사(국가 최고연구인력)급 연구원을 유치,100만위안(1억5000만원)의 주택보조금과 500만위안(7억5000만원)의 연구비도 지급할 방침이다.
중앙정부도 우수 인력 유치에 발벗고 나서 '철밥통'의 상징인 국영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공모키로 했다.
그동안 공산당이나 정부의 고급 간부들이 임명되던 관례를 깨고 비 공산당원과 해외 유학자에게 개방하되 공모 형태로 선발할 예정이다. 또 해외 유학파의 중국 회귀를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 아래 △정착자금 지원 △배우자 직장 알선 △해외파 전용 연구단지 조성 등도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24일 중국 신징바오 등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외국 금융 전문가에게 집값 보조금부터 무료 건강검진까지 제공하는 패키지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상하이시는 금융 전문가에게 연간 20만위안(약 3000만원)의 전세 보조금을 지급하고,소득세도 20% 환불해주기로 했다. 이와 함께 매년 무료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한편 거류증 취득 등의 절차를 대폭 간소화할 계획이다. 상하이의 신 중심지 푸둥지역 안에 외국인 금융회사 직원 집단주거지도 마련키로 했다. 한정 상하이시장은 "2010년 말까지 외국 은행 보험 증권사 직원에게 이 같은 우대조치를 해주기로 중앙정부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상하이시의 이 같은 조치는 런던이나 뉴욕 같은 국제 금융도시가 되기 위해선 외국 금융전문가 유치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광둥성 정부는 경공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한다는 방침 아래 연간 3000만위안(45억원)의 파격적인 포상금을 내걸고 우수 인력을 모집키로 했다. 광둥성 정부는 앞으로 매년 말 산업 과학 등의 분야에서 최우수 인력을 2명 선발,각각 3000만위안의 포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 국제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남긴 연구팀을 뽑아 최고 5000만위안(75억원)에서 1억위안(150억원)을 주기로 했다. 또 2등급 연구팀에는 각각 3000만위안(45억원)에서 5000만위안(75억원),3등급에는 1000만위안(15억원)에서 2000만위안(30억원)을 연구비로 제공한다. 원사(국가 최고연구인력)급 연구원을 유치,100만위안(1억5000만원)의 주택보조금과 500만위안(7억5000만원)의 연구비도 지급할 방침이다.
중앙정부도 우수 인력 유치에 발벗고 나서 '철밥통'의 상징인 국영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공모키로 했다.
그동안 공산당이나 정부의 고급 간부들이 임명되던 관례를 깨고 비 공산당원과 해외 유학자에게 개방하되 공모 형태로 선발할 예정이다. 또 해외 유학파의 중국 회귀를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 아래 △정착자금 지원 △배우자 직장 알선 △해외파 전용 연구단지 조성 등도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