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 후진타오 주석, 서울 숲 방문 공동 식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 이틀째이자 마지막날인 26일 오전 뚝섬 서울숲을 찾았다. 외국 정상이 도심에서 떨어진 서울숲을 방문한 것은 후 주석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일정은 중국쪽이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후 주석이 바쁜 방한 일정에서 서울숲을 찾은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왜 서울숲 방문했나
이 대통령은 이날 미리 서울숲에 와 기다리다가 후 주석이 도착하자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 숲길을 거닐며 환경문제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청와대 측은 후 주석의 서울숲 방문을 중국의 심각한 대도시 대기오염 문제를 풀기 위한 벤치마킹용 방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 같은 관심사를 의식한 듯 직접 브리핑 현황판에서 서울시청 청계천 서울숲 남산 등을 가르키며 "청계천을 따라오면 서울숲으로 이어지게 돼 있다"면서 "도심 한가운데 녹지가 자리잡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후 주석은 환영나온 한.중 청년대표 200명에게 인사말을 통해 "중국에 '나무를 키우는 데 10년이 걸리고 사람을 키우는 데는 100년이 걸린다'는 말이 있다"면서 "오늘 식목행사가 나무를 키우고 사람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오늘 심은 친선의 나무가 반드시 무성하게 잘 자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어제 회담에서 (우리는) 서로 깊은 관계를 가져가기로 약속했다"며 "이제 양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졌을 뿐 아니라 마음으로도 매우 가까운 나라가 됐다"고 답했다.
○후 주석 원전건설 따로 설명
행사가 끝난 뒤 후 주석은 "짧은 기간에 참 많은 것을 인상적으로 느꼈다"면서 "양국 각계각층의 활발한 교류를 꼭 이루자"고 말했고,다음 행사장으로 떠나기 위해 승용차를 타기 전 이 대통령과 포옹을 하며 우애를 거듭 과시했다.
이와 관련,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대체로 중국 지도자들은 말을 아끼기 때문에 감정적인 표현을 잘 하지 않는다"면서 "이번 회동으로 양국 정상이 '우리는 친구'라는 감정을 갖고 거리를 좁혔다는 게 가장 큰 수확"이라고 전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
○왜 서울숲 방문했나
이 대통령은 이날 미리 서울숲에 와 기다리다가 후 주석이 도착하자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 숲길을 거닐며 환경문제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청와대 측은 후 주석의 서울숲 방문을 중국의 심각한 대도시 대기오염 문제를 풀기 위한 벤치마킹용 방문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 같은 관심사를 의식한 듯 직접 브리핑 현황판에서 서울시청 청계천 서울숲 남산 등을 가르키며 "청계천을 따라오면 서울숲으로 이어지게 돼 있다"면서 "도심 한가운데 녹지가 자리잡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후 주석은 환영나온 한.중 청년대표 200명에게 인사말을 통해 "중국에 '나무를 키우는 데 10년이 걸리고 사람을 키우는 데는 100년이 걸린다'는 말이 있다"면서 "오늘 식목행사가 나무를 키우고 사람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오늘 심은 친선의 나무가 반드시 무성하게 잘 자랄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어제 회담에서 (우리는) 서로 깊은 관계를 가져가기로 약속했다"며 "이제 양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졌을 뿐 아니라 마음으로도 매우 가까운 나라가 됐다"고 답했다.
○후 주석 원전건설 따로 설명
행사가 끝난 뒤 후 주석은 "짧은 기간에 참 많은 것을 인상적으로 느꼈다"면서 "양국 각계각층의 활발한 교류를 꼭 이루자"고 말했고,다음 행사장으로 떠나기 위해 승용차를 타기 전 이 대통령과 포옹을 하며 우애를 거듭 과시했다.
이와 관련,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대체로 중국 지도자들은 말을 아끼기 때문에 감정적인 표현을 잘 하지 않는다"면서 "이번 회동으로 양국 정상이 '우리는 친구'라는 감정을 갖고 거리를 좁혔다는 게 가장 큰 수확"이라고 전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