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미분양주택이 15만가구에 육박했다. 지난 4월 이후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여왔던 미분양주택은 6월 들어서 전월 대비 1만9060가구나 늘어났다. 건설업체들이 '6.11 지방미분양 대책'의 혜택을 얻기 위해 미분양 누락분을 추가로 신고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해양부는 6월 말 현재 미분양주택이 14만7230가구로 집계돼 5월 말(12만8170가구)보다 14.9%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가 미분양주택 조사를 시작한 1993년 이래 최대치였던 1995년 11월(15만8061가구)과 비교해도 1만가구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는 실제 미분양이 증가했다기보다 정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지방 미분양 대책 여파 때문이란 분석이다.

국토부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기업 이미지 등을 감안해 미분양 물량을 축소신고했던 업체들이 6.11대책의 수혜를 위해 예전보다 성실하게 신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도권 미분양은 5월보다 871가구 감소했지만 지방에서 1만9931가구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6.11대책은 취득.등록세 인하,일시적 2가구 요건 완화,전매제한 사실상 폐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6월 말 현재 미분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강원도로 전월 대비 5029가구 증가한 1만1246가구로 나타났다. 대구는 3945가구 많아진 2만535가구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2만가구를 넘어섰다. 전남은 5월 말 3616가구에서 7313가구로 늘어 100% 이상 증가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