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경기 둔화로 신용 리스크-동부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 둔화에 따라 기업은행이 신용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분기 실적보다 자산건전성과 대손비용이 어느 수준에서 방어되느냐가 관전포인트라는 지적이다.
배정현 동부증권 연구원은 28일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연체율이 업종 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경기 부진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 연체율이 확대될 경우 대손비용 확대 폭은 시중은행보다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고 밝혔다.
시중은행들이 가계와 기업의 여신 혼합(MIX)을 구사하고 있는 반면, 기업은행은 여신 포트폴리오 구성 상 제한이 있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그는 이어 "기업은행은 가계보다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가 뚜렷하다"며 "경기 부진에 의한 중소기업 등의 채무상환 능력 악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순이자마진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배 연구원은 "기업은행 여수신 금리의 시장금리 대비 민감도는 은행 업종 내에서 낮은 편"이라며 "CD 금리 변동에 따른 순이자마진 변동성이 낮고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
배정현 동부증권 연구원은 28일 "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연체율이 업종 내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경기 부진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 연체율이 확대될 경우 대손비용 확대 폭은 시중은행보다 상대적으로 클 것"이라고 밝혔다.
시중은행들이 가계와 기업의 여신 혼합(MIX)을 구사하고 있는 반면, 기업은행은 여신 포트폴리오 구성 상 제한이 있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그는 이어 "기업은행은 가계보다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가 뚜렷하다"며 "경기 부진에 의한 중소기업 등의 채무상환 능력 악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순이자마진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배 연구원은 "기업은행 여수신 금리의 시장금리 대비 민감도는 은행 업종 내에서 낮은 편"이라며 "CD 금리 변동에 따른 순이자마진 변동성이 낮고 안정적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박철응 기자 he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