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분양 사태 증가,중소건설사와 가계 부실,저축은행 건전성 악화 등으로 금융시장이 불안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1일 '금융위기 가능성 점검과 대책' 보고서에서 "주택가격 상승률,대출기관 연체율,가계의 대출 상환능력 등을 기준으로 금융안전성을 지수화한 결과 우리나라의 금융안전도는 올해 1분기 44.9로 지난해 69.2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고 밝혔다.

금융안전도는 2003년 55.1에서 2004년 39.1로 급락한 뒤 2005년 46.0,2006년 45.4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올해 들어 큰 폭의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국주택가격지수 증가율은 올해 1분기 2.7%(전년 동기 대비)로 지난해 9.0%에 비해 크게 낮아졌고 대출기관 건전성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은 6월 말 1.14%로 작년 말에 비해 0.14%포인트 상승했다. 대출 상환 능력을 보여주는 개인의 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은 지난해 1.6% 증가에서 올해 1분기 -0.4%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이 발생했던 2007년 미국의 금융안전도(37.3)와 비교해서는 아직 양호하지만 미국의 금융안전도가 올해 1분기에 13.8로 떨어지는 등 금융위기에 진입한 이후 급격히 낮아진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금융 불안도 급속히 커질 수 있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은 현재까지는 금융 위기의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경기 추이에 따라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부동산시장 침체,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부실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