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생활] 봐도 봐도 안보이는 퍼팅라인…벌써 노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이가 쉰인데도 골프장 그린에서 퍼팅라인을 읽지 못할 정도로 노안이 왔다면 갑갑한 노릇이다.
노안은 40대 중반 이후 수정체의 탄력이 저하되고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모양근이 노화돼 30㎝ 안팎의 거리에 있는 잔 글씨가 잘 보이지 않고 퍼팅라인조차 눈에 선하게 들어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경우 방법은 두 가지다. 수술을 하느냐 마느냐다. 수술을 피하려면 돋보기나 콘택트렌즈(모노비전 또는 이중초점 렌즈)를 착용하면 된다. 그러나 썼다 벗었다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돋보기를 쓰면 원거리 시력이 떨어져 벗어야 더 잘 보인다.
수술은 백내장이 있는 경우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면 된다. 백내장은 카메라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하고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질환이다. 따라서 백내장으로 혼탁해진 수정체를 빼고 대신 굴절력이 다른 동심원을 렌즈 표면에 교대로 배치해 근거리나 원거리의 초점이 거의 동일선상에서 맺게 한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면 백내장과 노안을 동시에 치료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레스토,테크니스,리줌 등 각기 다른 특성의 제품이 나와 있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기존 단초점 인공수정체보다 야간에 달무리나 일시적인 눈빛부심(현휘) 현상이 나타나는 흠이 있다.
백내장이 없는 경우라면 노안 교정을 위한 라식이나 고주파 각막성형술을 하면 된다. 노안 라식은 원시성인 경우 각막의 굴절면을 다초점 형태로 깎아 먼 곳은 물론 가까운 곳도 잘 보이게 하는 방법을 쓴다.
근시성인 경우 주로 보는 눈(주시안)을 정시(正視)로 교정해 먼거리가 잘 보이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눈(비주시안)은 마이너스 2 디옵터 정도의 근시로 교정해 가까운 곳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즉 짝눈을 만들어 한쪽은 먼 곳,다른 쪽 눈은 가까운 곳을 보게 한다는 것이다. 양눈의 시력이 달라 어지러울 수 있지만 통상 안구는 1주일 정도 지나면 달라진 상황에 적응한다. 수술 전에 짝짝이 콘택트렌즈를 착용시켜 수술해도 될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젊어서 라식 수술을 한 사람도 노안은 피해갈 수 없다. 따라서 노안 라식을 다시 받거나 다른 방법을 모색해봐야 한다. 또 수정체 혼탁이나 각막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골프를 치거나 야외에서 운동할 때 선글라스를 쓰는 습관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
고주파 각막성형술은 각막 주변부에 고주파를 쏘아 응고시킴으로써 팽팽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각막을 보다 경사지게 해 굴절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근거리 시력이 향상되나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수술 전 상태로 원상복귀되는 경우가 상당수다.
도움말=주천기 가톨릭대 강남성모병원 안과 교수
노안은 40대 중반 이후 수정체의 탄력이 저하되고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모양근이 노화돼 30㎝ 안팎의 거리에 있는 잔 글씨가 잘 보이지 않고 퍼팅라인조차 눈에 선하게 들어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경우 방법은 두 가지다. 수술을 하느냐 마느냐다. 수술을 피하려면 돋보기나 콘택트렌즈(모노비전 또는 이중초점 렌즈)를 착용하면 된다. 그러나 썼다 벗었다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돋보기를 쓰면 원거리 시력이 떨어져 벗어야 더 잘 보인다.
수술은 백내장이 있는 경우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면 된다. 백내장은 카메라 렌즈에 해당하는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하고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질환이다. 따라서 백내장으로 혼탁해진 수정체를 빼고 대신 굴절력이 다른 동심원을 렌즈 표면에 교대로 배치해 근거리나 원거리의 초점이 거의 동일선상에서 맺게 한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면 백내장과 노안을 동시에 치료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레스토,테크니스,리줌 등 각기 다른 특성의 제품이 나와 있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기존 단초점 인공수정체보다 야간에 달무리나 일시적인 눈빛부심(현휘) 현상이 나타나는 흠이 있다.
백내장이 없는 경우라면 노안 교정을 위한 라식이나 고주파 각막성형술을 하면 된다. 노안 라식은 원시성인 경우 각막의 굴절면을 다초점 형태로 깎아 먼 곳은 물론 가까운 곳도 잘 보이게 하는 방법을 쓴다.
근시성인 경우 주로 보는 눈(주시안)을 정시(正視)로 교정해 먼거리가 잘 보이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눈(비주시안)은 마이너스 2 디옵터 정도의 근시로 교정해 가까운 곳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즉 짝눈을 만들어 한쪽은 먼 곳,다른 쪽 눈은 가까운 곳을 보게 한다는 것이다. 양눈의 시력이 달라 어지러울 수 있지만 통상 안구는 1주일 정도 지나면 달라진 상황에 적응한다. 수술 전에 짝짝이 콘택트렌즈를 착용시켜 수술해도 될지 여부를 테스트한다.
젊어서 라식 수술을 한 사람도 노안은 피해갈 수 없다. 따라서 노안 라식을 다시 받거나 다른 방법을 모색해봐야 한다. 또 수정체 혼탁이나 각막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골프를 치거나 야외에서 운동할 때 선글라스를 쓰는 습관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
고주파 각막성형술은 각막 주변부에 고주파를 쏘아 응고시킴으로써 팽팽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각막을 보다 경사지게 해 굴절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근거리 시력이 향상되나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수술 전 상태로 원상복귀되는 경우가 상당수다.
도움말=주천기 가톨릭대 강남성모병원 안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