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위기설' 금융시장 강타] 위기설이 '위기' 만드는 양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월 위기설'의 진앙지는 채권시장이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채권의 만기가 9월에 집중돼 있다는 내용이 6월 말~7월 초께 채권시장 참가자들에게 퍼졌다. 9월 만기 외국인 보유채권의 규모가 84억달러(8조6000억원)에 이르고,이 물량이 다시 채권에 투자되지 않을 경우 금리가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됐다.
채권시장에서의 우려는 외환시장으로 번지면서 '위기설'로 확대 재생산됐다. 외국인이 만기가 돌아온 채권의 원리금을 달러로 바꿔 외국으로 나갈 경우 외환시장에 큰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7월 중순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가 악화돼 국제 금융시장이 급랭한 것과 맞물려 외화유동성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걱정으로 커졌다.
여기에 금융회사 외화자금 담당자들의 '아픈 3월의 기억'이 더해졌다. 지난 3월 결산을 맞은 일본계 및 중국계 은행들이 국내 금융회사에 빌려준 외화의 만기연장(roll over)에 난색을 표하면서 상당한 애로를 겪었던 일이다. 9월은 일본계 및 중국계 은행들의 결산이 다시 이뤄지는 시기다.
8월 말,9월 초로 접어들면서 채권 및 외환시장에서의 우려는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설'로 번지게 됐다. 무역수지 경상수지가 악화일로를 걷고,성장률은 떨어지고,물가는 뛰면서 자칫 '제2의 경제위기'가 올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까지 만들어지고 있다. 1일 일부 경제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발표되면서 환율 및 금리 급등,주가 폭락이 빚어졌다.
정부는 외국인이 주로 갖고 있는 국채의 만기가 9일과 10일 집중되는 데 이 시기만 잘 넘기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이 때문에 '위기설' 자체가 '위기'를 만들어내는 양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채권시장에서의 우려는 외환시장으로 번지면서 '위기설'로 확대 재생산됐다. 외국인이 만기가 돌아온 채권의 원리금을 달러로 바꿔 외국으로 나갈 경우 외환시장에 큰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7월 중순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가 악화돼 국제 금융시장이 급랭한 것과 맞물려 외화유동성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걱정으로 커졌다.
여기에 금융회사 외화자금 담당자들의 '아픈 3월의 기억'이 더해졌다. 지난 3월 결산을 맞은 일본계 및 중국계 은행들이 국내 금융회사에 빌려준 외화의 만기연장(roll over)에 난색을 표하면서 상당한 애로를 겪었던 일이다. 9월은 일본계 및 중국계 은행들의 결산이 다시 이뤄지는 시기다.
8월 말,9월 초로 접어들면서 채권 및 외환시장에서의 우려는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설'로 번지게 됐다. 무역수지 경상수지가 악화일로를 걷고,성장률은 떨어지고,물가는 뛰면서 자칫 '제2의 경제위기'가 올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까지 만들어지고 있다. 1일 일부 경제지표가 악화된 것으로 발표되면서 환율 및 금리 급등,주가 폭락이 빚어졌다.
정부는 외국인이 주로 갖고 있는 국채의 만기가 9일과 10일 집중되는 데 이 시기만 잘 넘기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이 때문에 '위기설' 자체가 '위기'를 만들어내는 양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