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3일 "이번 조세개혁안에 이어 규제개혁안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조세와 규제개혁에 이어 금융개혁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경제여건이 아주 나쁜 상황이지만 올해 말부터 거시경제지표가 체감경기와 함께 살아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도 처리해야 하고 공기업 개혁을 통해 '신(神)의 직장'에서 '국민의 직장'으로 돌려주는 작업에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지난해 우리나라 조세부담률이 22.7%로 계속 부담률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조세도 (국가) 경쟁력의 한 요소인 만큼 조세부담률을 미국과 일본 수준인 20%까지 점차 낮추겠다"고 말했다.

임 의장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들의 평균 조세부담률은 26.9%로 우리가 조금 낮은 수준이지만 OECD 국가들의 특징이 유럽식 사회복지국가 모델로 재정이 운영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우리보다 높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기획재정위 회의에서 "조세부담률을 20%대로 낮추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세출예산을 조정해가면서,재정건전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감세로 인한 재정수지 악화우려에 대한 한나라당 최경환 의원 질문에 "전체적으로 작년 조세부담률은 작년 기준 22.7%로,미국의 20%,일본의 17%를 기준으로도 높고,그것을 20%대로 낮추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세출예산도 앞으로 조정해가면 재정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도록 (예산을)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임 의장은 소득세 인하에 대해 "기본방침은 중산 서민층에 대해 최대한 부담을 가볍게 하자는 목표를 두고 감세를 실시했다"면서 "다만 소득세율을 일괄적으로 2% 낮춰 '부자만을 위한 감세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가급적 부동산 가격이 올라서는 안 된다는 관점에서 수요 증가를 초래하는 정책을 최대한 자제했다"면서 "그러나 부동산 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