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수서2지구 임대주택 건립 문제를 놓고 서울 강남과 강북의 구청장이 충돌했다.

서울 노원구의 이노근 구청장은 7일 '임대주택과 관련한 입장'이란 제목의 성명을 내고 "강남지역 한 자치구의 임대아파트 건립 불가 입장은 강남.북 간 부익부 빈익빈을 가속화시키는 것"이라며 "강북지역으로 임대아파트를 떠넘겨 강북의 슬럼화를 촉진시키려는 저의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강남 수서2지구에 임대주택을 짓는 것에 반대하는 뜻을 밝힌 맹정주 강남구청장을 비판한 것이다. 맹 구청장은 지난 3일 기자간담회에서 "그린벨트를 해제하면서까지 주민들이 반대하는 수서2지구에 임대주택을 조성할 필요는 없다"며 "수서2지구가 아니라 서민들이 살기 편한 역세권 등에 임대주택을 지어야 한다는 게 강남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구청장의 이 같은 비판은 노원구가 서울지역 임대주택의 24%인 2만1602가구가 관내에 집중된 상태에서 추가로 4000여가구의 임대아파트 건립안을 수용했음에도 상대적으로 여건이 나은 강남구가 '수서2지구 임대아파트 건립 불가' 입장을 밝히자 '발끈'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수서2지구는 면적(18만㎡)이 20만㎡ 이하여서 지방자치단체장이 지구지정 등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으나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고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이 이 지구의 임대주택 건립계획을 재고해 달라는 공문을 최근 서울시장에게 보내 논란이 일면서 국토부가 직접 개발권한을 행사키로 한 곳이다.

맹 구청장도 이 구청장의 성명에 대해 같은날 오후 반박성명을 내며 맞섰다. 맹 구청장은 성명에서 "강남구는 임대아파트가 자치구 가운데 세 번째로 많은 7910가구에 달할 정도로 정부와 서울시의 임대아파트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있다"며 "다만 수서2지구에는 임대주택이 몰려 있어 저소득층을 한 곳으로 몰지 말고 균형 배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번 논란과 관련,"수서2지구 임대주택 건설은 국토해양부 소관 사항"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