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양대 모기지업체에 2000억弗 구제금융] 韓銀 "보유채권 380억弗 더 안전해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을 보유한 한국은행과 국내 금융회사들은 "보유채권이 더 안전해졌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은 미국 정부의 '암묵적 지급보증'을 받았지만 구제금융이 이뤄지면 '명시적 지급보증'을 받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에 380억달러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한은은 일각에서 제기된 '원리금 손실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됐다. 한은 관계자는 "패니매와 프레디맥에 공적자금이 투입되면 향후 감자가 예상되지만 이는 채권 투자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원리금을 떼일 염려는 전혀 없다"고 8일 말했다. 그는 또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 조치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에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다"며 "국제 금융시장도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을 보유한 시중은행과 보험회사들도 한숨 돌리게 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4곳의 은행과 5곳의 보험회사가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 5억5000만달러를 보유하고 있었다. 업체별로는 삼성생명이 4억달러로 가장 많고 이어 신한은행(4900만달러) 우리금융(2000만달러) AIG생명(1100만달러) 산업은행(700만달러) 현대해상(667만6000달러) 하나은행(500만달러) LIG손해보험(340만달러) 삼성화재(146만달러) 순이다. 이 밖에 국민연금도 패니매 채권에 1억달러가량을 투자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와 관련,"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은 그동안 시장에서 계속 유통이 될 정도로 전혀 문제가 없었다"며 "미국 정부의 조치가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들에 더욱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에 380억달러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한은은 일각에서 제기된 '원리금 손실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됐다. 한은 관계자는 "패니매와 프레디맥에 공적자금이 투입되면 향후 감자가 예상되지만 이는 채권 투자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며 "원리금을 떼일 염려는 전혀 없다"고 8일 말했다. 그는 또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 조치 이후 국제금융시장에서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에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다"며 "국제 금융시장도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을 보유한 시중은행과 보험회사들도 한숨 돌리게 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4곳의 은행과 5곳의 보험회사가 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 5억5000만달러를 보유하고 있었다. 업체별로는 삼성생명이 4억달러로 가장 많고 이어 신한은행(4900만달러) 우리금융(2000만달러) AIG생명(1100만달러) 산업은행(700만달러) 현대해상(667만6000달러) 하나은행(500만달러) LIG손해보험(340만달러) 삼성화재(146만달러) 순이다. 이 밖에 국민연금도 패니매 채권에 1억달러가량을 투자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와 관련,"패니매와 프레디맥 채권은 그동안 시장에서 계속 유통이 될 정도로 전혀 문제가 없었다"며 "미국 정부의 조치가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들에 더욱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