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미분양률 2005년 대비 6배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해가 거듭될수록 미분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수도권 미분양률이 3년 전보다 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8년 7월 현재까지 분양물량대비 미분양가구를 분석한 결과 2005년에는 10가구 중 1가구가 미분양됐지만 2008년에는 4가구 중 1가구가 미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전국에서 분양(아파트, 주상복합)한 아파트는 총 29만2532가구였으며, 이 가운데 2만6975가구가 미분양 돼 9.2%의 미분양률을 보였다. 이후 2006년과 2007년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더니 2008년(7월 기준)에는 총 11만933가구 분양 중 무려 2만7231가구가 미분양 돼 24.5% 미분양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는 2005년 12만6738가구가 분양했으며 이중 4021가구가 미분양돼 3.3%의 미분양률을 기록했다. 2006년엔 7.9%, 2007년엔 8.9%로 상승세를 보이다 2008년엔 분양물량 6만549가구 중에 17.5%인 1만604가구가 미분양됐다. 2005년 대비 무려 6배 가량 미분양률이 증가한 것이다.
지방광역시에서는 2005년 9만4280가구가 분양했으며 12.3%인 4211가구가 미분양 됐다. 지방광역시도 마찬가지로 계속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2008년에는 2만2801가구가 분양돼 34.9%인 7948가구가 미분양 됐다. 2005년 대비 약 3배 가량 증가했다.
지방중소도시는 △2005년 14.8% △2006년 21.6% △2007년 35.2% △2008년 31.5%의 미분양률을 보였다. 2005년 대비 2008년 미분양률은 약 2배 가량 높아졌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최근 들어 수도권에서도 분양이 잘 되지 않아 많은 건설사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미분양 해소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따라줘야 하지만 무엇보다 입지, 분양가 등에 있어 경쟁력 있는 상품을 공급하려는 주택업계의 자구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10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8년 7월 현재까지 분양물량대비 미분양가구를 분석한 결과 2005년에는 10가구 중 1가구가 미분양됐지만 2008년에는 4가구 중 1가구가 미분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전국에서 분양(아파트, 주상복합)한 아파트는 총 29만2532가구였으며, 이 가운데 2만6975가구가 미분양 돼 9.2%의 미분양률을 보였다. 이후 2006년과 2007년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더니 2008년(7월 기준)에는 총 11만933가구 분양 중 무려 2만7231가구가 미분양 돼 24.5% 미분양률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에서는 2005년 12만6738가구가 분양했으며 이중 4021가구가 미분양돼 3.3%의 미분양률을 기록했다. 2006년엔 7.9%, 2007년엔 8.9%로 상승세를 보이다 2008년엔 분양물량 6만549가구 중에 17.5%인 1만604가구가 미분양됐다. 2005년 대비 무려 6배 가량 미분양률이 증가한 것이다.
지방광역시에서는 2005년 9만4280가구가 분양했으며 12.3%인 4211가구가 미분양 됐다. 지방광역시도 마찬가지로 계속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2008년에는 2만2801가구가 분양돼 34.9%인 7948가구가 미분양 됐다. 2005년 대비 약 3배 가량 증가했다.
지방중소도시는 △2005년 14.8% △2006년 21.6% △2007년 35.2% △2008년 31.5%의 미분양률을 보였다. 2005년 대비 2008년 미분양률은 약 2배 가량 높아졌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리서치연구소장은 "최근 들어 수도권에서도 분양이 잘 되지 않아 많은 건설사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미분양 해소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따라줘야 하지만 무엇보다 입지, 분양가 등에 있어 경쟁력 있는 상품을 공급하려는 주택업계의 자구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