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내비게이션의 힘! … 짧은 연휴에도 귀경시간 줄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추석은 연휴 기간이 3일로 짧았지만 일부 극심한 정체를 보인 구간을 제외하고는 소요시간이 예년보다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추석 연휴 하루 전인 12일부터 14일까지 고속도로를 이용한 차량은 하루 평균 365만대로 작년보다 11.2% 증가했다. 특히 추석 당일 고속도로 교통량은 422만대로 집계돼 지난해 추석(420만대)을 제치고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이번 추석은 5일 연휴였던 작년보다도 귀경길 소요시간이 더 짧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구간별 귀경길 최대 소요시간은 승용차의 경우 △부산∼서울 11시간30분 △광주∼서울 10시간45분 등이었으나,올해는 △부산∼서울 8시간40분 △광주∼서울 6시간30분 등으로 더 짧았다.
올해 예상과 달리 극심한 '교통지옥'이 벌어지지 않은 이유는 역귀성 증가와 실시간 내비게이션을 활용한 교통량 분산 등이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이다. 추석 이틀 전부터 추석 당일까지인 12∼14일 고속도로를 통해 수도권으로 진입한 역귀성 차량은 하루 평균 28만5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9월23∼25일)의 26만3000대보다 2만2000대나 많았다.
또 올해는 추석 당일 새벽 고속도로를 이용한 귀성 차량이 10만대,추석 다음 날 새벽 고속도로를 이용한 귀경 차량이 7만대로 시간대별 교통량 분산도 비교적 잘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인터넷 홈페이지,휴대전화 서비스 등을 통해 예년보다 정확한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운전자들이 보다 덜 막히는 시간대와 덜 막히는 길을 찾아갈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15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추석 연휴 하루 전인 12일부터 14일까지 고속도로를 이용한 차량은 하루 평균 365만대로 작년보다 11.2% 증가했다. 특히 추석 당일 고속도로 교통량은 422만대로 집계돼 지난해 추석(420만대)을 제치고 최고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이번 추석은 5일 연휴였던 작년보다도 귀경길 소요시간이 더 짧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구간별 귀경길 최대 소요시간은 승용차의 경우 △부산∼서울 11시간30분 △광주∼서울 10시간45분 등이었으나,올해는 △부산∼서울 8시간40분 △광주∼서울 6시간30분 등으로 더 짧았다.
올해 예상과 달리 극심한 '교통지옥'이 벌어지지 않은 이유는 역귀성 증가와 실시간 내비게이션을 활용한 교통량 분산 등이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이다. 추석 이틀 전부터 추석 당일까지인 12∼14일 고속도로를 통해 수도권으로 진입한 역귀성 차량은 하루 평균 28만5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9월23∼25일)의 26만3000대보다 2만2000대나 많았다.
또 올해는 추석 당일 새벽 고속도로를 이용한 귀성 차량이 10만대,추석 다음 날 새벽 고속도로를 이용한 귀경 차량이 7만대로 시간대별 교통량 분산도 비교적 잘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인터넷 홈페이지,휴대전화 서비스 등을 통해 예년보다 정확한 교통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운전자들이 보다 덜 막히는 시간대와 덜 막히는 길을 찾아갈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