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케이전자, 구리 본딩와이어 전용 생산공장 준공(상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엠케이전자가 국내 최대 규모의 구리 본딩와이어 생산공장을 완공해 본격 생산에 들어간다.
엠케이전자는 17일 경기도 용인공장에서 최상용 사장 등 임직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리 본딩와이어 전용 생산공장 준공식을 갖고, 기존 생산능력보다 3배 이상 향상된 월평균 2만km 생산체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밝혔다.
구리 본딩와이어는 과거 저가형 반도체에 주로 사용돼 왔으나 최근에는 모바일용 패키지 등 고급형에도 일부 확대 적용되는 추세다. 특히 금값 상승으로 원가절감 문제가 대두되면서 금 본딩와이어의 대체재로 2011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고성장이 예상된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최상용 엠케이전자 사장은 "전용 생산라인을 갖추게 돼 중국과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외 반도체 시장 수출에 탄력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엠케이전자는 지난 1982년 창립 이후 26년간 국내 반도체 소재산업을 개척한 회사다. 주력제품인 본딩와이어 부문과 초정밀 합금기술과 극세선 가공기술, 특수열처리기술 등 축적된 고유의 제조노하우와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이 부문 국내 시장점유율 1위와 세계시장점유율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연간 실적은 매출 3482억원, 영업이익 105억원으로 기록했다. 올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직전 동기 대비 각각 40%와 53.7% 증가한 2195억원과 73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엠케이전자는 17일 경기도 용인공장에서 최상용 사장 등 임직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리 본딩와이어 전용 생산공장 준공식을 갖고, 기존 생산능력보다 3배 이상 향상된 월평균 2만km 생산체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밝혔다.
구리 본딩와이어는 과거 저가형 반도체에 주로 사용돼 왔으나 최근에는 모바일용 패키지 등 고급형에도 일부 확대 적용되는 추세다. 특히 금값 상승으로 원가절감 문제가 대두되면서 금 본딩와이어의 대체재로 2011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고성장이 예상된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최상용 엠케이전자 사장은 "전용 생산라인을 갖추게 돼 중국과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해외 반도체 시장 수출에 탄력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엠케이전자는 지난 1982년 창립 이후 26년간 국내 반도체 소재산업을 개척한 회사다. 주력제품인 본딩와이어 부문과 초정밀 합금기술과 극세선 가공기술, 특수열처리기술 등 축적된 고유의 제조노하우와 특허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이 부문 국내 시장점유율 1위와 세계시장점유율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연간 실적은 매출 3482억원, 영업이익 105억원으로 기록했다. 올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직전 동기 대비 각각 40%와 53.7% 증가한 2195억원과 73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