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처리 … 홍준표 사퇴 안할 것" … 한나라당 유임론 무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유임론'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홍준표 퇴진론'을 촉발시킨 추가경정 예산안이 19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됨에 따라 책임론이 잦아들고 있는 것이다. 퇴진론의 선봉에 섰던 친이(친이명박)계 소장파 의원들은 입장 표명을 자제했다.
홍 원내대표는 기자와의 통화에서는 "무엇보다 추경안 처리가 우선이지 않으냐"면서 "다음주 중 의총 결정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추경안 처리를 전제로 다음주 의총에서 재신임을 받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홍 원내대표는 '자진 사퇴'에 대한 의중을 묻자 "스스로 용퇴하기에는 모양새가 안 좋다"면서 "임기가 얼마나 된다고…"라고 말했다. 한 측근은 "추경안이 처리된 만큼 굳이 사퇴할 이유가 없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당내 분위기도 유임 쪽에 무게가 실린다. 친박계 허태열 최고위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각종 개혁 등 본질적 사안을 앞두고 지휘부를 바꾸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면서 "다시 한번 기회를 주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퇴진을 주장했던 친이 소장파의 한 의원은 "특정인의 거취 문제를 계속 거론하기도 부담스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유임될 경우 원 운영 스타일에 변화를 줄 것이냐'는 질문에 "크게 변화될 것은 없다"면서도 "다만 일부 의원들이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만큼 대야 협상력을 높이는 한편 당 안팎의 여러 목소리를 경청하고 다독거리는 리더십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홍준표 퇴진론'을 촉발시킨 추가경정 예산안이 19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됨에 따라 책임론이 잦아들고 있는 것이다. 퇴진론의 선봉에 섰던 친이(친이명박)계 소장파 의원들은 입장 표명을 자제했다.
홍 원내대표는 기자와의 통화에서는 "무엇보다 추경안 처리가 우선이지 않으냐"면서 "다음주 중 의총 결정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추경안 처리를 전제로 다음주 의총에서 재신임을 받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홍 원내대표는 '자진 사퇴'에 대한 의중을 묻자 "스스로 용퇴하기에는 모양새가 안 좋다"면서 "임기가 얼마나 된다고…"라고 말했다. 한 측근은 "추경안이 처리된 만큼 굳이 사퇴할 이유가 없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당내 분위기도 유임 쪽에 무게가 실린다. 친박계 허태열 최고위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각종 개혁 등 본질적 사안을 앞두고 지휘부를 바꾸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면서 "다시 한번 기회를 주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퇴진을 주장했던 친이 소장파의 한 의원은 "특정인의 거취 문제를 계속 거론하기도 부담스런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유임될 경우 원 운영 스타일에 변화를 줄 것이냐'는 질문에 "크게 변화될 것은 없다"면서도 "다만 일부 의원들이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 만큼 대야 협상력을 높이는 한편 당 안팎의 여러 목소리를 경청하고 다독거리는 리더십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