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철 KAIST 교수, 몸 속 단백질 분자 변화 X선 관측 성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AIST는 이효철 화학과 교수(36)가 미국 프랑스 덴마크 이탈리아 연구진과 공동으로 X-선 산란(가시광선보다 훨씬 더 짧은 파장을 가진 X-선을 이용해 눈으로 볼 수 없는 나노 수준의 작은 구조물을 관찰하는 방법)을 이용,용액상의 단백질 구조변화 관측에 성공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 교수가 교신저자(공동저자 중 논문 전체를 책임지는 연구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네이처 메서드(Nature Methods)' 2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며 10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릴 예정이다.
우리 몸의 단백질은 물에 녹아 있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단백질의 기능을 관측하려면 물에 녹아 있는 단백질 분자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교수팀은 2005년 물에 녹아 있는 간단한 유기분자의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데 이어 올 들어 유기분자보다 1000배가량 크고 구조가 훨씬 복잡한 헤모글로빈 단백질과 미오글로빈 단백질 등의 3차원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로 지금까지 개념적으로 유추해왔던 단백질 분자단위의 현상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3년 후에는 질병 단백질과 신약 분자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관찰할 수 있게 돼 신약 개발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우리 몸의 단백질은 물에 녹아 있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단백질의 기능을 관측하려면 물에 녹아 있는 단백질 분자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교수팀은 2005년 물에 녹아 있는 간단한 유기분자의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데 이어 올 들어 유기분자보다 1000배가량 크고 구조가 훨씬 복잡한 헤모글로빈 단백질과 미오글로빈 단백질 등의 3차원 구조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로 지금까지 개념적으로 유추해왔던 단백질 분자단위의 현상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3년 후에는 질병 단백질과 신약 분자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관찰할 수 있게 돼 신약 개발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