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일반상품수지가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나타냈다. 일반상품수지는 현행 국제통계상 보편적으로 쓰이는 상품수지에서 운임과 보험료,소유권 이동 없는 해외 임가공 거래 등을 제외한 것으로 상품 수출입의 본질적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7월 한국의 상품수지는 48억4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일반상품수지 기준으로는 오히려 37억4590만달러 적자를 나타내 전년 동기(105억1140만달러 흑자)에 비해 크게 악화됐다. 1~7월 일반상품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때인 1997년(78억1270만달러 적자) 이후 처음이다.

같은 기간의 일반상품수지를 연도별로 보면 1998년 210억370만달러,2000년 59억5730만달러,2002년 68억9130만달러,2004년 213억6590만달러,2006년 91억7640만달러였다. 올해 일반상품수지는 4월과 6월을 제외하고는 모두 적자였다.

한은 관계자는 "현행 상품수지는 해외 임가공 등도 수출로 분류하고 있으나 2011년께부터는 일반상품수지 방식으로 대체해 수지를 엄격히 따지도록 하는 방안이 국제통화기금(IMF)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