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O피해 中企유동성 지원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당국, 흑자도산 방지
환율 파생상품인 키코(KIKO)로 인한 중소기업의 피해가 확산되자 금융당국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우량한 중소기업이 키코 손실로 일시적 자금난을 겪을 경우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금융위는 당초 키코 문제에 대해 은행과 중소기업의 사적인 계약에 의한 것으로 개입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었지만 20일 이명박 대통령까지 중소기업의 일시적 자금난에 따른 흑자도산 사례를 언급하며 대책 마련을 지시하자 다급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경영인 조찬 강연에서 "국내 경기둔화에 따라 유동성 문제를 겪는 중소기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회사들이 급속한 대출 회수를 자제할 필요가 있고 특히 환헤지 상품인 키코 손실이 심각해지면 유동성 지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권혁세 금융위 증권선물위원도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감독당국은 키코 상품 판매과정에서 금융회사들의 불완전판매가 없는지 점검하고 있다"며 "키코로 인해 우량한 중소기업들이 흑자도산하는 사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정부가 키코 문제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고 금융회사 자율 협약 형태로 유동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권 위원은 "중소기업이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도산하면 거기에 여신을 제공한 은행 등에도 피해가 간다"며 "채권단이나 은행단의 자율 협약으로 만기를 연장해 주거나 유동성을 공급해 주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금융위 당국자는 "일단 중소기업청이 신보 기보 중소기업진흥공단 우리은행 등과 상시 대책반을 만들어 대응하고 있고 은행들에도 대출회수를 자제하라고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
환율 파생상품인 키코(KIKO)로 인한 중소기업의 피해가 확산되자 금융당국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우량한 중소기업이 키코 손실로 일시적 자금난을 겪을 경우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금융위는 당초 키코 문제에 대해 은행과 중소기업의 사적인 계약에 의한 것으로 개입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었지만 20일 이명박 대통령까지 중소기업의 일시적 자금난에 따른 흑자도산 사례를 언급하며 대책 마련을 지시하자 다급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2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경영인 조찬 강연에서 "국내 경기둔화에 따라 유동성 문제를 겪는 중소기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회사들이 급속한 대출 회수를 자제할 필요가 있고 특히 환헤지 상품인 키코 손실이 심각해지면 유동성 지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권혁세 금융위 증권선물위원도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감독당국은 키코 상품 판매과정에서 금융회사들의 불완전판매가 없는지 점검하고 있다"며 "키코로 인해 우량한 중소기업들이 흑자도산하는 사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정부가 키코 문제에 직접 개입하지는 않고 금융회사 자율 협약 형태로 유동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권 위원은 "중소기업이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도산하면 거기에 여신을 제공한 은행 등에도 피해가 간다"며 "채권단이나 은행단의 자율 협약으로 만기를 연장해 주거나 유동성을 공급해 주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금융위 당국자는 "일단 중소기업청이 신보 기보 중소기업진흥공단 우리은행 등과 상시 대책반을 만들어 대응하고 있고 은행들에도 대출회수를 자제하라고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