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탐사 쇄빙연구선 내달 예비 진수식 … 1m 두께 얼음 부수며 항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첫 쇄빙(碎氷)연구선 '아라온호'가 내달 부산 영도에서 예비 진수식을 갖는다.
23일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약 6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아라온호는 오는 10월17일 도크에서 분리된 후 바다에서 남은 건조 공정을 마무리짓는다. 아라온호는 내년 9월 말께 극지연구소에 인도되며 시험운항을 거쳐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극지 탐사와 남극 세종기지 보급 및 연구지원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국내 첫 제작…6950t급
극지연구소가 국토해양부의 지원을 받아 총 1040억원(건조비 754억원,연구장비 286억원)을 투입한 아라온호는 6950t급 쇄빙연구선으로 현재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중이다. 길이 110m,폭 19m,최고속도 시속 30㎞(16노트)이며 최대 85명까지 승선할 수 있고 헬기 탑재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가장 큰 규모의 연구용 선박은 해양연구원이 보유 중인 2500t급 연구선이다. 남극기지를 갖고 있는 20개국 중 한국과 폴란드만이 쇄빙선이 없어 우리나라는 쇄빙연구선이 필요할 때마다 러시아 등으로부터 하루에 8000만원가량씩 주고 빌려 써왔다.
아라온이 결빙된 바다에서 항해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우선 튼튼한 동체와 높은 엔진 출력을 이용한다. 최저 영하 30도의 환경에서 가동되는 쇄빙연구선은 1m 두께의 얼음을 연속으로 부수며 시속 5.4㎞(3~4노트)로 전진해야 한다. 따라서 선체의 앞머리 부분은 4㎝ 두께의 고강도 철판이 장착되며 6800마력 엔진 두 개를 장착해 같은 급 선박의 3~4배에 달하는 엔진 출력을 내뿜는다.
두꺼운 얼음으로 전진이 불가능할 때는 선체 앞머리를 얼음 위로 들어올린 후 배의 무게로 얼음을 깨뜨린다. 배 바닥에 실린 300t 무게의 물이 아라온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며 최대 5m까지 앞머리를 들어올릴 수 있게끔 한다.
◆100여종의 첨단 과학장비 탑재
아라온호는 한 번의 유류 및 식생활용품 보급으로 70일간 2만해리(3만7000㎞)를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으로 남북극 결빙해역을 항해하며 △해양생물자원 및 생태계 연구 △해저지질 조사 △극지 환경변화 모니터링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해양탐사를 위해 아라온에는 100여종에 달하는 해양연구 장비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중 수억원을 호가하는 최첨단 과학연구 장비만 28종에 이른다. 27억원을 들여 아라온에 장착시킨 '멀티빔 에코사운드(다중채널 음파탐지기)' 장비는 여러 개의 빔을 동시에 발사해 해저면의 영상을 3차원으로 구현한다. 26억원짜리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장비는 물에 들어가지 않아도 해저면 바닥에 있는 지층 구조를 탐사할 수 있다.
남상헌 극지연구소 쇄빙선사업단장은 "아라온호는 연간 300일 이상의 연구항해를 통해 극지역과 대양에서 첨단 연구수행이 가능하다"며 "남극 세종기지 및 북극 다산기지 등과 연계해 바다와 육지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연구가 활성화될수 있다"고 말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23일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약 6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아라온호는 오는 10월17일 도크에서 분리된 후 바다에서 남은 건조 공정을 마무리짓는다. 아라온호는 내년 9월 말께 극지연구소에 인도되며 시험운항을 거쳐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극지 탐사와 남극 세종기지 보급 및 연구지원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국내 첫 제작…6950t급
극지연구소가 국토해양부의 지원을 받아 총 1040억원(건조비 754억원,연구장비 286억원)을 투입한 아라온호는 6950t급 쇄빙연구선으로 현재 한진중공업에서 제작 중이다. 길이 110m,폭 19m,최고속도 시속 30㎞(16노트)이며 최대 85명까지 승선할 수 있고 헬기 탑재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가장 큰 규모의 연구용 선박은 해양연구원이 보유 중인 2500t급 연구선이다. 남극기지를 갖고 있는 20개국 중 한국과 폴란드만이 쇄빙선이 없어 우리나라는 쇄빙연구선이 필요할 때마다 러시아 등으로부터 하루에 8000만원가량씩 주고 빌려 써왔다.
아라온이 결빙된 바다에서 항해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우선 튼튼한 동체와 높은 엔진 출력을 이용한다. 최저 영하 30도의 환경에서 가동되는 쇄빙연구선은 1m 두께의 얼음을 연속으로 부수며 시속 5.4㎞(3~4노트)로 전진해야 한다. 따라서 선체의 앞머리 부분은 4㎝ 두께의 고강도 철판이 장착되며 6800마력 엔진 두 개를 장착해 같은 급 선박의 3~4배에 달하는 엔진 출력을 내뿜는다.
두꺼운 얼음으로 전진이 불가능할 때는 선체 앞머리를 얼음 위로 들어올린 후 배의 무게로 얼음을 깨뜨린다. 배 바닥에 실린 300t 무게의 물이 아라온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며 최대 5m까지 앞머리를 들어올릴 수 있게끔 한다.
◆100여종의 첨단 과학장비 탑재
아라온호는 한 번의 유류 및 식생활용품 보급으로 70일간 2만해리(3만7000㎞)를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으로 남북극 결빙해역을 항해하며 △해양생물자원 및 생태계 연구 △해저지질 조사 △극지 환경변화 모니터링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해양탐사를 위해 아라온에는 100여종에 달하는 해양연구 장비가 탑재될 예정이다. 이 중 수억원을 호가하는 최첨단 과학연구 장비만 28종에 이른다. 27억원을 들여 아라온에 장착시킨 '멀티빔 에코사운드(다중채널 음파탐지기)' 장비는 여러 개의 빔을 동시에 발사해 해저면의 영상을 3차원으로 구현한다. 26억원짜리 다중채널 탄성파 탐사장비는 물에 들어가지 않아도 해저면 바닥에 있는 지층 구조를 탐사할 수 있다.
남상헌 극지연구소 쇄빙선사업단장은 "아라온호는 연간 300일 이상의 연구항해를 통해 극지역과 대양에서 첨단 연구수행이 가능하다"며 "남극 세종기지 및 북극 다산기지 등과 연계해 바다와 육지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연구가 활성화될수 있다"고 말했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