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하이카다이렉트는 출퇴근 시간대에 교통사고를 당할 경우 보험금을 더 많이 주는 '하이카다이렉트 출퇴근 안심특약'을 24일부터 판매한다. 이 상품은 출퇴근 시간 사망 및 후유장해시엔 가입금액의 두 배,부상시엔 치료비 외에 합의금 등을 보상해 준다. 특약 보험료는 연간 하이카다이렉트 자동차 보험료가 50만원인 고객의 경우 4000원이다.
알파벳과 AMD의 기대 이하 실적에 중국의 애플에 대한 반독점 조사 소식이 전해지면서 5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를 하락으로 이끌었다. 미국 동부 표준시로 오전 10시에 S&P500은 0.2%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0.5% 떨어졌다. 다우존스 산업평균도 소폭 내렸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딥시크 쇼크에도 AI 지출에 올해 75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클라우드 매출 성장과 전체 매출 증가폭이 기대 이하로 나타나면서 8% 폭락했다. 1년만에 최악의 하락이다. AI 그래픽 칩 업체인 AMD는 4분기 데이터센터 수익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데다 AI칩 매출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서 10% 가까이 폭락했다. 알파벳의 AI 하드웨어에 대한 거액 지출은 알파벳 주가에는 타격을 줬지만 칩을 판매하는 엔비디아에는 호재로 작용해 엔비디아는 이 날 3.5% 상승한 12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 규제 기관이 애플의 앱스토어 수수료와 외부결제금지 정책 등에 대해 공식조사에 나설것이라는 보도가 나온 후 1% 넘게 하락했다. 테슬라는 이 날도 다시 1.7% 하락했다. 테슬라는 독일에서 극우정당을 지지하면서 1월중 신차 판매가 무려 60% 급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프랑스에서는 63% 급감했다. 또 배터리전기차 판매가 42% 급증하고 있는 영국 시장에서 전기차 업체 가운데 8%나 판매가 감소했다.CEO인 일론 머스크가 유럽 전역에서 인기없는 트럼프 정부와 유착한 모습이 유럽내 판매에 타격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대형 기술주들의 하락으로 블룸버그 매그니피센트7 지수는 1.6% 하락했다. 이 그룹은 S&P500 가중치의 약 3분의 1을 구성한다. 이들은 S&P500 기업 전체 평균보다 40%의 프리
부영그룹이 자녀 1명을 낳을 때마다 1억원을 주는 출산장려금을 지난 한 해 동안만 28억원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부영은 5일 오전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2025년 시무식을 열고 지난 한 해 출산한 직원들에게 총 28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부영의 출산장려금 제도는 이중근 회장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마련했다. 시행 첫해인 지난해에는 2021~2023년 자녀를 낳은 직원들에게 총 70억원이 지급된 바 있다. 특히 혜택을 받은 직원은 연평균 23명이다.부영은 지난해 이보다 5명이 많은 28명이 태어난 만큼 출산장려금의 저출생 문제 해소 효과가 확실하다고 평가하고 있다.이 회장은 "저출생 문제가 계속된다면 20년 후 국가 존립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우리가 마중물이 돼 앞으로 많은 기업이 출산을 자발적으로 지원하게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한편 이 회장은 6·25 전쟁에 참여한 유엔군에 감사를 표하고 이들의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유엔데이인 10월 24일을 공휴일로 재지정하자는 제안도 했다. 유엔 창설, 발족일인 1945년 이날을 기리는 유엔데이는 1950년 공휴일로 지정됐다. 다만 북한의 유엔 산하 기구 가입에 항의를 표하는 뜻으로 정부가 1976년 공휴일 지정을 폐지했다.이 회장은 "6·25 전쟁은 유엔군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지금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것이다.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다. 그 희생 위에 한국이 존재하게 됐다. 그러나 우리는 유엔군의 희생을 망각하고 있다.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시대 정신을 후대에 물려줘야 한다"
월트 디즈니가 예상을 크게 넘는 이익과 연간 전망을 발표했다. 디즈니 주가는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 개장전 거래에서 1.5% 오른 11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5일(현지시간) 디즈니는 12월 28일 기준 분기 순이익은 25억 5,000만 달러(주당 1.40달러)로, 전년 동기의 19억 1,000만 달러(주당 1.04달러)보다 크게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구조조정 비용 등 비정기적 항목을 제외한 조정 순익은 주당 1.76달러로 분석가들의 컨센서스인 1.45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은 4.8% 증가한 246억 9,000만 달러(36조원)에 달했다. 분석가들이 예상한 246억 7,0000만달러를 웃돌았다.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플러스를 포함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성장했으나 기대치에는 못미쳤고 이보다 사업 규모가 적은 스포츠 및 체험 사업은 기대치보다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회사는 올해 주당이익(EPS)을 5.41달러로 예상했다. 이는 이익 성장률이 8.9%로 높은 한자릿수를 기록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디즈니의 최대 사업인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매출은 8.9% 증가해 108억 7,000만 달러(15조7,3000억원)를 기록했다. 팩트셋이 집계한 분석가들의 예상치 110억 9,000만달러에는 못미쳤다. 해당 사업내에서 디즈니플러스와 훌루를 포함하는 직접 소비자 부문(DTC)의 매출은 9.5% 증가한 60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분석가들이 예상한 61억 4,000만 달러보다 적었다. 디즈니플러스 가입자 수는 1억 2,460만 명으로 전 분기 대비 0.6% 감소했다. 사용자당 평균 수익은 7.20달러에서 7.55달러로 증가했다. 훌루 가입자는 5,200만명에서 5,360만명으로 증가했다. 디즈니의 CEO 밥 아이거는 "지난 해 가장 흥행한 영화 ‘인사이드아웃2’등 상위 3편이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