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혜경 한의학硏 박사, 닥나무 폐수서 면역증진 물질 발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통한지 제조 공정의 부산물인 닥나무 폐수에서 면역 증강효과가 있는 물질이 발견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 하혜경 박사팀은 닥나무를 사용한 전통한지 제조 과정에 필요한 닥나무 끓인 물에서 면역 증진효과가 있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전통한지는 원료인 닥나무를 삶아 껍질을 벗겨낸 뒤 이를 말려 만드는데,닥나무 1t을 삶으면 2t의 폐수가 발생하지만 특별한 활용처가 없어 지금까지 전량 폐기돼왔다.
연구팀은 닥나무 끓인 물에서 면역 활성화를 나타내는 대식세포(식균 작용 및 면역 정보를 전달)의 증식효과와 비장세포(항체 생성 등 면역력 증강에 작용)의 증식 효과를 관찰했다. 이와 함께 대식세포가 활성화될 때 나타나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 또한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학연구원은 동의보감에서 이미 닥나무 열매를 저실자(楮實子),닥나무의 어린 가지와 잎을 구피마(構皮麻),닥나무 잎을 저엽(楮葉),닥나무 줄기를 저경(楮莖)이라고 부르며 약용식물로 이용해왔다고 소개했다.
하혜경 박사는 "닥나무 물 추출물을 활용해 면역기능 강화용 건강식품 및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아토피 및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유효성도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
한국한의학연구원 하혜경 박사팀은 닥나무를 사용한 전통한지 제조 과정에 필요한 닥나무 끓인 물에서 면역 증진효과가 있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전통한지는 원료인 닥나무를 삶아 껍질을 벗겨낸 뒤 이를 말려 만드는데,닥나무 1t을 삶으면 2t의 폐수가 발생하지만 특별한 활용처가 없어 지금까지 전량 폐기돼왔다.
연구팀은 닥나무 끓인 물에서 면역 활성화를 나타내는 대식세포(식균 작용 및 면역 정보를 전달)의 증식효과와 비장세포(항체 생성 등 면역력 증강에 작용)의 증식 효과를 관찰했다. 이와 함께 대식세포가 활성화될 때 나타나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 또한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학연구원은 동의보감에서 이미 닥나무 열매를 저실자(楮實子),닥나무의 어린 가지와 잎을 구피마(構皮麻),닥나무 잎을 저엽(楮葉),닥나무 줄기를 저경(楮莖)이라고 부르며 약용식물로 이용해왔다고 소개했다.
하혜경 박사는 "닥나무 물 추출물을 활용해 면역기능 강화용 건강식품 및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아토피 및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유효성도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황경남 기자 knh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