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25일 청와대에서 오찬 회동을 갖고 국제 금융위기 대처와 경제 살리기에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또 남북문제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 대통령과 정 대표는 이날 1시간55분 동안 오찬을 겸해 이뤄진 단독회담에서 7개항에 합의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과 최재성 민주당 대변인이 발표했다.

정 대표는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활성화하고 보증 배수를 제한하고 있는 업무지침을 풀도록 요청했고 이 대통령은 "그렇게 하겠다. 필요한 경우 관련 예산을 내년 예산에 반영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키코(KIKO) 피해 중소기업에 대해서도 흑자 도산 기업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관련 대책을 내놓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과 정 대표는 주요 국정 현안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회동하고 청와대 정무수석 등이 야당 대표에게 사전 브리핑을 하는 등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방 행정체제 개편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하고 정부안이 제출되면 여야가 협의해 개편 문제를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두 사람은 이번 정기국회가 민생경제 살리기를 위한 생산적 국회가 되도록 하자는 데 공감하고 저탄소.녹색성장에 대해서도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대학생 등록금 인하를 위한 예산 지원과 고교 무상교육을 위한 첫 단계로 실업계 고교 학비 전액 지원에도 의견을 같이했다.

이 대통령과 정 대표는 그러나 종합부동산세와 법인세 감세,공기업 민영화,촛불시위자 수사 문제 등에 대해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정 대표는 "(종부세 등에 대해) 철학의 차이를 확인했다"고 말해 향후 국회 논의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홍영식/노경목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