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정권교체 등 돌발적인 정치적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한.미 양국이 시급히 비상대응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니얼 블루멘털 미국기업연구소(AEI) 연구원은 25일 워싱턴에서 '한.미 관계의 새 시대'를 주제로 헤리티지재단이 마련한 세미나를 통해 "한.미 양국 간에 상당 기간 비상대응계획에 대한 대화가 없다는 것은 분명히 위험한 일"이라며 조속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존 매케인 공화당 대선후보의 핵심 외교참모다.

블루멘털 연구원은 "미국은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 방지,일본은 대륙 간 탄도미사일,한국은 또 다른 문제에 각각 관심을 갖고 있을 것"이라며 "한.미.일이 서로 다른 시나리오를 조율해 대응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미.일 3국이 협의를 마친 뒤 중국에 대해서도 과연 어떤 비상대응계획을 갖고 있는지 답하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시 행정부에서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국장을 지냈던 빅터차 조지타운대 교수는 "한.미 간에 비상대응계획을 협의한 뒤 일본과 이를 공유하고,이어 중국도 참여한 가운데 비상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가세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