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아소정권 출발부터 '삐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24일 출범한 일본의 아소 다로 정권이 딱한 처지다. 다가올 중의원 선거를 겨냥해 진용을 짠 새 내각의 나카야마 나리아키 국토교통상이 취임 5일 만인 28일 낙마했다. 앞뒤 가리지 않은 말 때문이다.
나카야마 국토교통상은 25일 언론 인터뷰에서 "일교조(日敎組ㆍ일본 교원노조)가 강한 곳은 학생 성적이 나쁘다""일교조 아들들은 성적이 나빠도 교사가 된다"는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나리타 공항 확장에 반대하는 주민들에 대해선 "억지를 부리면 이익을 본다는 것 아닌가. 2차대전 후 교육이 잘못된 탓"이라고 비난했다.
일교조 등의 폐단을 지적한 '소신 발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선거를 앞둔 상황에선 위험한 발언이었다. 진보성향 사회단체들은 그의 퇴진을 요구했고 민주당 등 야당은 아소 총리의 임명 책임을 추궁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초기 인기율이 50%에도 못 미친 아소 내각의 지지율이 급락할 경우 조기 중의원 해산ㆍ총선거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나카야마 국토교통상은 원래 '요주의 인물'이었다. 2004년 고이즈미 내각 때 문부과학상이던 그는 독도에 관한 교과서 왜곡을 주도했다. 2005년 3월 국회에서 "새 학습지도요령에서는 (독도 영유권을) 제대로 써야 한다"고 답변해 최근 한국의 강력한 반발을 산 교과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단초를 제공한 인물이다.
'일본의 미래와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 회장을 지내면서는 중국 난징 대학살을 날조라고 주장했다. 군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불법이나 위안소 내 인권 침해가 없었다"며 일본 군과 정부의 책임을 부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민당 내 최대 파벌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마치무라파 중진인 그가 발탁됐다는 게 정설이다. 그는 당초 행정개혁상을 제의받았으나 "나도 처도 자식들도 모두 대장성(현재 재무성) 출신인데,나더러 행정 개혁을 하라고…"라며 거부했다고 한다.
인사의 최종 책임은 인사권자에게 있다. 나카야마 국토교통상 사퇴 파문은 결국 아소 총리의 자업자득인 셈이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
나카야마 국토교통상은 25일 언론 인터뷰에서 "일교조(日敎組ㆍ일본 교원노조)가 강한 곳은 학생 성적이 나쁘다""일교조 아들들은 성적이 나빠도 교사가 된다"는 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나리타 공항 확장에 반대하는 주민들에 대해선 "억지를 부리면 이익을 본다는 것 아닌가. 2차대전 후 교육이 잘못된 탓"이라고 비난했다.
일교조 등의 폐단을 지적한 '소신 발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선거를 앞둔 상황에선 위험한 발언이었다. 진보성향 사회단체들은 그의 퇴진을 요구했고 민주당 등 야당은 아소 총리의 임명 책임을 추궁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초기 인기율이 50%에도 못 미친 아소 내각의 지지율이 급락할 경우 조기 중의원 해산ㆍ총선거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나카야마 국토교통상은 원래 '요주의 인물'이었다. 2004년 고이즈미 내각 때 문부과학상이던 그는 독도에 관한 교과서 왜곡을 주도했다. 2005년 3월 국회에서 "새 학습지도요령에서는 (독도 영유권을) 제대로 써야 한다"고 답변해 최근 한국의 강력한 반발을 산 교과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단초를 제공한 인물이다.
'일본의 미래와 역사교육을 생각하는 의원 모임' 회장을 지내면서는 중국 난징 대학살을 날조라고 주장했다. 군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불법이나 위안소 내 인권 침해가 없었다"며 일본 군과 정부의 책임을 부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민당 내 최대 파벌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마치무라파 중진인 그가 발탁됐다는 게 정설이다. 그는 당초 행정개혁상을 제의받았으나 "나도 처도 자식들도 모두 대장성(현재 재무성) 출신인데,나더러 행정 개혁을 하라고…"라며 거부했다고 한다.
인사의 최종 책임은 인사권자에게 있다. 나카야마 국토교통상 사퇴 파문은 결국 아소 총리의 자업자득인 셈이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