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GDP)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민간소비가 내년까지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금 당장은 물가 때문에 어렵지만 내년에 물가가 어느 정도 안정되면 경기 부양을 통한 소비 활성화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9일 '최근 소비 동향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민간소비의 부진은 물가 급등과 고용 창출력 약화,금융.부동산 등 자산가치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이라며 "이러한 여건들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민간소비는 현재 극심한 부진에 빠진 상태다. 지난 2분기 민간소비는 전 분기 대비 0.2% 감소했다. 민간소비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04년 2분기(-0.1%) 이후 4년 만이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작년 3분기 1.3%,4분기 0.8%,올해 1분기 0.4% 등 가파른 속도로 추락하고 있다. "소비만 놓고 보면 이미 경기 침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 자산가치 하락도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을 감안한 개인 부문의 실질금융자산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2007년 3분기 12.2%,4분기 8.5%,올해 1분기 6.6%,2분기 1.5% 등으로 급감했다. 특히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과 국내 부동산경기 침체가 앞으로 1~2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실질 자산가치의 증가를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연구소는 진단했다. 이에 따라 경기 호황 때 자산가치 상승이 소비 증가로 이어지는 '부의 효과'와 반대로 당분간 금융자산의 실질가치 하락에 따른 '역(逆)부의 효과'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연구소는 또 "물가는 경기 위축에 따른 수요 둔화와 국제 원자재 가격의 진정에 따라 내년 이후 점차 안정을 찾고 고용시장은 규제 완화 등 친기업정책이 효과를 내기 시작하면 조금씩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