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증가 신고분 증가 탓..향후 증가 제한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양종금증권은 1일 전국 미분양 주택수가 16만 가구를 돌파하는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미분양 주택 증가외에 정부 정책 혜택을 염두에 둔 신고분 증가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향후 미분양 주택수의 절대량 증가는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달 30일 국토해양부 발표에 의하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16만595가구, 지방 미분양 주택은 85%에 해당하는 13만6181가구로 조사됐다. 준공 후 미분양 세대수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최대치인 4만562가구를 기록했다.
이광수 동양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연초에 주춤하던 미분양 주택수가 6월과 7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국토해양부 수치의 증가는 물론 근본적으로 미분양 주택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나, 미분양 주택을 중심으로 한 정부 정책 혜택을 염두에 둔 신고분 증가가 또 다른 원인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 존재하는 미분양의 절대수의 증가보다는 신고분의 증가로 인해 통계 수치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이제 우리의 관심은 통계자료의 현실화보다는 업계추산 약 25만 가구에 이르는 미분양 가구수의 절대량이 지속적이고 추세적으로 증가할 것이냐 하는 점"이라며 "향후 국토해양부의 수치 증가와는 별도로 시장의 미분양 주택수의 절대량 증가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양증권은 공급이 제한적인 시장에서 소비의 위축으로 인한 일방적인 미분양 주택 증가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향후 시장의 여러 불안 요소로 인해서 공급량 자체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동양증권은 미분양 주택해소를 위한 정부와 주택회사의 노력 가시화로 인한 미분양 감소도 기대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미분양 주택 매입 등의 노력이 현재 진행 중이며 실제로 정부가 적극매입에 나설 경우 미분양 주택의 의미 있는 해소가 가능할 것"이라며 "주택회사별로 분양가 인하, 미분양 펀드를 통한 일괄 매각, 임대업 전환 등도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되어 점진적인 해소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미분양 주택의 증가는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은 불변의 사실"이라며 그러나 "지금 수준은 최악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점진적 해소에 무게중심이 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수도권의 미분양 증가(7월 4055가구 증가)를 의미 있게 봐야 할 시점인데 소비심리가 회복되면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향후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점진적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지난달 30일 국토해양부 발표에 의하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16만595가구, 지방 미분양 주택은 85%에 해당하는 13만6181가구로 조사됐다. 준공 후 미분양 세대수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최대치인 4만562가구를 기록했다.
이광수 동양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 연초에 주춤하던 미분양 주택수가 6월과 7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국토해양부 수치의 증가는 물론 근본적으로 미분양 주택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나, 미분양 주택을 중심으로 한 정부 정책 혜택을 염두에 둔 신고분 증가가 또 다른 원인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시장에서 존재하는 미분양의 절대수의 증가보다는 신고분의 증가로 인해 통계 수치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이제 우리의 관심은 통계자료의 현실화보다는 업계추산 약 25만 가구에 이르는 미분양 가구수의 절대량이 지속적이고 추세적으로 증가할 것이냐 하는 점"이라며 "향후 국토해양부의 수치 증가와는 별도로 시장의 미분양 주택수의 절대량 증가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동양증권은 공급이 제한적인 시장에서 소비의 위축으로 인한 일방적인 미분양 주택 증가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향후 시장의 여러 불안 요소로 인해서 공급량 자체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동양증권은 미분양 주택해소를 위한 정부와 주택회사의 노력 가시화로 인한 미분양 감소도 기대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미분양 주택 매입 등의 노력이 현재 진행 중이며 실제로 정부가 적극매입에 나설 경우 미분양 주택의 의미 있는 해소가 가능할 것"이라며 "주택회사별로 분양가 인하, 미분양 펀드를 통한 일괄 매각, 임대업 전환 등도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되어 점진적인 해소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미분양 주택의 증가는 우려할 만한 수준인 것은 불변의 사실"이라며 그러나 "지금 수준은 최악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점진적 해소에 무게중심이 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수도권의 미분양 증가(7월 4055가구 증가)를 의미 있게 봐야 할 시점인데 소비심리가 회복되면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향후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점진적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