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코앞 … 국회는 보좌관 '교체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선거공신 나가고 경험많은 '정책형' 영입
총선을 도왔던 '정무형' 인사들이 중심인 보좌진이 국감 준비 과정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자 상임위 경험이 풍부한 '정책형' 인사들로 교체되고 있는 것이다. 국감이 임박해 보좌진을 개편하는 데 따른 혼선도 만만치 않아 '애당초에 선거 공신들에게 선심 쓰듯 보좌관 자리를 준 게 문제'라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국토해양위에 속한 A의원은 최근 보좌진 중 한 명을 지역구로 내려보냈다. 총선 때 자신을 도왔거나 알고 지내던 사람들로 구성된 보좌진이 지난달 중순부터 국감 준비를 한다며 변죽만 울린 끝에 부처에 제대로 된 자료 하나 요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A의원은 비서관 한 명을 자르고 빈 자리를 해당 상임위 경험이 풍부한 전직 비서관으로 채웠다.
국방위 B의원실의 경우는 보좌관이 스스로 그만둔 경우다. 지역구 일만 하다 선거에서 이겨 국회에 입성했지만 국감이 다가오면서 만만치 않은 업무량에 두손을 들고 사표를 쓴 것.
C의원실도 최근 비서관 한 명을 바꿨다. 국회 관계자는 "지역구에서 올라온 보좌진 중에는 단순히 '국회의원 보좌관'이라는 경력을 명함에 넣기 위해 한두 달 근무하고 그만두는 경우도 많다. 관련 경력이 지역의회 선거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급작스러운 보좌진 교체는 국감 준비의 부실로 이어진다. 17대 때 보좌한 의원이 낙선하면서 석 달 넘게 백수로 지내다 국감을 일주일 앞두고 국회로 돌아온 한 비서관은 "막상 의원실에 출근해 보니 국감 준비가 하나도 안 돼 있었다"면서 "서둘러 자료를 몇 건 요청하기는 했지만 시간이 없어 의원의 질의서를 작성하는 것도 힘에 부친다"고 토로했다.
국회에서 10여년을 일한 다른 보좌관은 "총선을 앞두고 정책 보좌관을 무작정 자르고 그 자리에 '선거꾼'을 앉히던 것과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보좌관 자리가 개별 의원들의 정치적 필요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이상 국회에서 제대로 된 행정부 견제나 입법 기능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