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구제금융 하순부터 투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권 구제금융법안이 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미국 정부가 이르면 이달 하순부터 총 7000억달러의 공적자금을 단계적으로 투입할 전망이다. 미국 하원은 지난 3일(현지시간) 상원이 넘긴 구제금융 수정법안을 법안 재수정 없이 찬성 263표,반대 171표로 가결시켰다. 하지만 이날 뉴욕 증시가 급락하는 등 시장의 불안은 여전한 상태다.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은 구제금융 수정법안이 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인수 대상 부실자산의 범위와 부실자산 가치 산정 방법,구매 절차 등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재무부는 부실 모기지(주택담보대출)증권 매입 등을 맡을 10여개의 외부 자산운용사 선정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폴슨 장관은 "민간 전문가들과 상의해 다양한 수단을 마련할 것"이라며 "정부의 구제금융 조치는 금융시장을 안정시켜 궁극적으로 미국인들의 경제적 안전을 도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
토니 프래토 백악관 대변인은 "금융회사들로부터 본격적으로 부실자산을 매입하려면 최소 몇 주가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미국 의회의 구제금융법안 가결을 환영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중국은 이 법안이 조속히 시행돼 미국과 전 세계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고 투자자들의 신뢰가 조속히 회복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제금융법안의 하원 통과에도 불구하고 다우지수가 1.50% 하락하는 등 뉴욕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하원이 구제금융안을 표결에 부친 시점을 전후해 300포인트가량 상승했지만 막상 법안이 통과되자 상승폭을 줄이더니 하락세로 마감했다.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나오면서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구제금융에 대한 기대감을 무너뜨렸기 때문이다. 노동부는 이날 9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15만9000개 줄었다고 밝혔다. 5년여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고용 사정이 나빠지면 소비가 줄고 실물경제는 더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은 구제금융 수정법안이 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인수 대상 부실자산의 범위와 부실자산 가치 산정 방법,구매 절차 등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재무부는 부실 모기지(주택담보대출)증권 매입 등을 맡을 10여개의 외부 자산운용사 선정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폴슨 장관은 "민간 전문가들과 상의해 다양한 수단을 마련할 것"이라며 "정부의 구제금융 조치는 금융시장을 안정시켜 궁극적으로 미국인들의 경제적 안전을 도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
토니 프래토 백악관 대변인은 "금융회사들로부터 본격적으로 부실자산을 매입하려면 최소 몇 주가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미국 의회의 구제금융법안 가결을 환영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중국은 이 법안이 조속히 시행돼 미국과 전 세계의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고 투자자들의 신뢰가 조속히 회복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제금융법안의 하원 통과에도 불구하고 다우지수가 1.50% 하락하는 등 뉴욕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다우지수는 하원이 구제금융안을 표결에 부친 시점을 전후해 300포인트가량 상승했지만 막상 법안이 통과되자 상승폭을 줄이더니 하락세로 마감했다.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더 악화된 것으로 나오면서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구제금융에 대한 기대감을 무너뜨렸기 때문이다. 노동부는 이날 9월 비농업 부문 일자리가 15만9000개 줄었다고 밝혔다. 5년여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고용 사정이 나빠지면 소비가 줄고 실물경제는 더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