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보환 의원은 6일 교육과학기술부 국정감사에서 "전교조는 교총보다 회원 수가 적은데도 불구하고 지난 5년간(2003~2007년) 사무실 임대비용 등 정부 예산이 훨씬 많이 지원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정부 예산으로 전교조에 지원된 사무실 임대비용은 총 45억7000여만원으로 교총(13억5000만원)보다 32억원 이상 더 많다. 박 의원은 또 "최근 2년간 각종 행사지원비도 전교조가 12억3000여만원,교총 11억7000여만원으로 전교조 쪽이 더 많다"고 지적했다. 전교조 회원 수는 7만3000여명으로 교총 회원 16만5000명의 절반 이하다.
이에 안병만 장관은 "교총은 자신의 건물을 사용하고 있는 데 비해 전교조는 그렇지 않다"며 "임대료가 많아서 지원금이 많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이처럼 교원 노조에 정부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2004년 각 시도교육청이 마련한 '교원의 노동조합 및 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이다.
당시 교원노조와 맺은 단체협약에는 정부가 교원단체의 편의를 제공(4조)하고 교육행사를 지원(5조)하도록 돼 있는 등 교원 노조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조항들이 많아 단체협약이 하루 빨리 개정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실제 공정택 서울시교육감은 교원노조와의 단체협약을 개정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전교조의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원성과급제' 문제도 국감 도마 위에 올랐다.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은 "2006년 도입 당시에만 교원 성과급제가 100% 차등 지급됐고 현재는 10%만이 차등 지급된다"며 경력순으로 나눠 먹는 성과급 제도의 전면 개선을 촉구했다.
또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은 "전교조 소속 교사들 중 한 해 100명에 가까운 수가 장기 휴직자"라며 "교사들이 연수 이외의 목적으로 2년 이상 장기 휴직을 못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선화 기자 doo@hankyung.com